매일신문

단독주택 공시가격 매년 상승 행진

한국감정원이 단독주택 공시가격에 대한 주요 현황을 정리해 올해 처음 제작한 '단독주택 공시가격 통계e-book'에 따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2009년 처음 하락한 후, 2014년까지 매년 상승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책자는 2008년부터 2014년까지 공시된 단독주택 공시가격에 대한 가격변동률·지역별 가격수준 및 가격 균일성지수 등 21개 항목의 통계지표를 수록하고 있으며 2014년 현재 전국 약 417만가구의 단독주택이 있다.

지역별 가격수준을 나타내는 단독주택 공시가격지수(전국=100)를 살펴보면 서울이 483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256, 인천 209 등의 순이었다. 전남이 25로 전국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가격별 분포를 보면 2억5천만원 이하 단독주택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9억원 초과 주택은 2008년 0.23%에서 2014년 0.32%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였다.

지역별 단독주택 공시가격 균일성지수는 서울 0.36, 부산 0.36 등이고, 전북 0.59, 경북 0.58 등으로 대도시의 단독주택공시가격이 지방보다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의 경우 택지개발 사업, 주거환경정비사업 등으로 비슷한 시점에 유사한 규모의 건물이 다수 지어졌으나

농촌지역은 일제시대 건축된 목조·토담조 주택부터 80년대의 양옥 주택, 전원주택까지 건물의 등급과 가격수준이 다양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