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대 총장 재선거 "명예 날아가고, 분란만 남겼다"

학교 홈페이지 비판·자성…사태 수습과정 '깊은 상처'

경북대가 총장 선정 과정에서 상처투성이가 됐다.

차기 총장 재선정을 둘러싸고 치열하게 대립했던 이해당사자들이 우여곡절 끝에 재선정에 최종 합의하는 과정에서 국립대의 위상과 명예는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지역사회의 분란만 초래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경북대 교수평의회는 8일 대학본부, 교수회, 총장후보자 등 3자 측이 합의한 '재선정'에 동의했다. 다만 평의회는 대학본부 측이 합의 사항을 이행하고자 들고 나온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에 관한 규정' 개정안에 대해서는 합의하기가 어렵대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로써 경북대 차기총장 재선정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이번 사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이해당사자들의 행보는 학교 구성원들과 지역사회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경북대 A교수는 9일 학교 홈페이지(복현의 소리)에 '원칙 없는 경북대학교, 길을 잃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A교수는 "지성의 전당이며 한강 이남 최고의 대학이라고 자부하는 경북대의 본부, 교수회, 그리고 후보자들이 이번 총장 후보자 선정과정에서 보여준 실망스러운 모습들에서 원칙을 잃고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도 모르면서 방황하는 경북대의 실상을 보고 있는 것 같아 처절하게 가슴이 아프다"고 썼다.

경북대 교수사회에 대한 비판도 거세다. 지난 6월 26일 선거 당시 총장후보자 추천위원은 48명으로, 경북대 구성원(36명) 중에서는 교수 31명, 직원 4명, 학생 1명이 참가했다. 이와 관련 7일 '복현의 소리'에 '漸入佳境'(점입가경)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린 직원 B씨는 "대통령에서 구청장까지, 심지어 교육감까지 국민의 손으로 직접 선출하고 있다. 유독 지식인 계층이라 자부하는 대학사회만은 조직체의 장을 선출하는 데에 참정권을 제한하고 기득권자의 독점을 옹호하는 봉건적 작태를 벌이고 말았다"고 했다. 이번 선거는 "민주주의 투표가 아니라 특권층의 유희"라고도 썼다.

경북대 총장 선거는 또 지역 사회에 혼란을 가져왔다. 규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등에 걸쳐 외부 추천위원 12명을 배정했으나, 명단이 사전 유출되면서 줄대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선거에 참여했던 외부 추천위원 C씨는 "경북대가 외부 추천위원을 뽑기 위해 공문을 보낸 지역 단체가 무려 60여 개에 이른다. 지역 축제의 장을 만들겠다는 의도였지만 결과적으로 축제는커녕 지역사회의 분란만 초래했다.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