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고 '골든타임'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에 대한 여야의 공방이 격화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당시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분 단위로 업무에 매진한 것이 밝혀졌다"며 "대통령의 7시간 동선에 대한 궁금증은 모두 해소된 만큼 김기춘 비서실장과 정호성 제1부속 비서관을 증인으로 부르자는 요청은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의혹만 더 키운 대통령 7시간에 대한 해명에 불과하다"고 맞받아쳤다.
국회 세월호 국정조사특위 새누리당 간사인 조원진 국회의원(대구 달서병)은 13일 기자회견을 열고 "본 의원이 4월 16일 세월호 사고와 관련해 대통령은 어디에 계셨으며, 언제, 어떤 보고를 받고, 어떤 지시를 했는지 질의에 대한 청와대 답변을 받았다"면서 청와대 답변서를 공개했다.
조 의원이 공개한 청와대 답변서에는 박 대통령에 대한 보고 및 대통령의 조치 사항 등 행적이 분 단위로 세세하게 기록돼 있었다. 이 답변서에 따르면 사고 당일 오전 10시 대통령에 대한 안보실 서면보고가 이뤄졌고, 15분 뒤에 박 대통령의 안보실에 대한 유선 지시가 처음으로 이뤄졌다. 이때 박 대통령은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여객선 내 객실 등을 철저히 확인하여 누락 인원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지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대통령은 또 오전 10시 30분 해양경찰청장에게 유선으로 "특공대를 투입해서라도 인원 구조에 최선을 다할 것"을 지시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이후에도 오후 10시 9분 정무수석실에서 11번째 서면보고를 진행할 때까지 박 대통령은 모두 안보실 서면 3회, 유선 7회, 비서실 서면 11회 등 모두 21번에 걸쳐 유선과 서면으로 보고를 받고 지시를 내렸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이 같은 청와대의 해명에도 새정치민주연합은 "오히려 의혹만 더 커졌다"면서 청와대와 여당을 압박했다. 한정애 대변인은 "국조특위 조원진 간사가 밝힌 대통령의 7시간 행적에 대한 청와대 답변을 보니, 김기춘 비서실장과 정호성 부속실 비서관이 왜 청문회에 나오지 않으려는 것인지 명백해졌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청와대 답변서에 나온 것처럼 최초 박 대통령의 지시 이후 다음 지시가 있을 때까지 7시간 동안 수많은 보고가 진행됐음에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침묵만 지키고 있었다는 점이 명백하게 밝혀졌다. 이 부분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조원진 의원은 14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지금껏 야당은 박 대통령이 사고 당일 경내에 없었다고 떠들지 않았느냐. 이번 답변서를 통해 박 대통령은 경내에 있었고, 21차례에 걸쳐 20~30분 간격으로 보고를 받고 지시를 한 것으로 나왔다"면서 "야당이 제기한 의혹이 터무니없다는 것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진 셈"이라고 일축했다.
조 의원은 특히 "야당이 초기 지시 이후 7시간가량 지시를 내리지 않은 점을 의혹이라고 내세우는데, 청와대 답변을 보면 박 대통령이 사고 초동 대응 단계에서 현장 지휘와 구조 활동이 회의 개최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별도의 대통령 주재 대책회의보다 신속한 구조 및 수습을 중요시한 판단에 대해 야당은 억지를 그만 부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