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현안들 중재 능력 상실 '입 다문 구미시'

경찰서 이전갈등 1년째 끌어…협의체 구성하고도 방관 자세

구미시가 구미경찰서 이전 부지 문제, 구미시 가축분뇨공동자원화시설 부지 문제 등 지역의 각종 현안을 두고 갈등이 첨예한데도 중재 능력을 상실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구미경찰서의 구미 신평동 옛 금오공대 캠퍼스 이전을 둘러싼 논란과 지역 대학과 경찰서 간 갈등은 지난해 10월 대두됐으나 1년 가까이 지난 지금까지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구미시는 이를 두고 논란과 갈등이 심화되자 문제를 해결해 보겠다며 지역 국회의원, 구미시장, 금오공대 총장, 구미경찰서장 등이 참여하는 기관장협의체를 구성했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협의체 구성 이후 단 한 차례도 회의를 열지 않는 등 뒷짐만 지고 있다.

구미경찰서가 이전을 계획하는 옛 금오공대 캠퍼스 9만여㎡ 부지는 금오공대가 2005년 구미 양호동으로 신축 이전한 후 장기간 방치되다 3년여 전부터 IT 관련 대규모 국책사업들이 잇따라 추진되면서 대구경북의 R&BD 거점지구로 재탄생하고 있다.

이곳에는 금오공대'경운대'구미대'영진전문대가 참여하는 경북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과 5천억원 규모의 각종 국책사업 추진으로 현재 학생'연구원'근로자 등 1천700여 명이 상주하면서 노후한 구미 1국가산업단지와 침체된 지역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국유지인 이곳 부지 중 3만5천㎡는 구미시가 이미 매입했고, 4만㎡는 금오공대가 기획재정부의 사용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운동장 부지 1만5천여㎡는 국유지로 그대로 남아있는 상황이다. 이 부지를 놓고 구미경찰서는 경찰서 신축 이전을, 지역 대학들은 학생 및 연구원들의 운동시설 및 주차장 부지 등 활용 계획을 구상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구미경찰서는 기획재정부에 운동장 부지 사용 승인을 신청해 놓고 결정을 기다리고 있고, 지역 대학들은 여전히 반대 목소리를 높이면서 갈등이 숙지지 않고 있다. 지역 대학의 구성원들은 이 문제와 관련, 27일부터 1인 시위 등 실력 행사에 나설 계획이다.

그러나 구미시는 지난해 10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기관장 협의체를 구성하고도 완전히 손을 놓고 있어 지역 현안을 방관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답답한 나머지 구미경실련 등 시민단체와 주민들이 나서서 대체 부지를 찾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시는 "기관 간 문제에 개입하기도 곤란하고, 예산 확보에도 어려움이 많다. 해결할 방법이 전혀 없다"는 답변만 늘어놓고 있다.

구미 산동면 성수리 일대에 추진되는 구미시 가축분뇨공동자원화시설 건립을 놓고도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6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여전히 해결의 실마리를 못 찾고 있다.

입지 예정지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금오공대 측은 악취 등으로 인한 학습'생활권 침해를 우려하며 강하게 반발했고, 축산농가와 축협 등은 거리도 충분한데다 악취방지시설을 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며 강행 의사를 밝히고 있다. 시설 건립이 지연되면 가축분뇨 처리를 못 해 축산농가들의 피해가 커질 전망이다. 그러나 시는 사업 주체인 축협에만 문제를 떠넘기며 방관자적인 입장을 보인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구미 이창희 기자 lch888@msnet.co.kr 구미 정창구 기자 jungc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