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면 갱판용)신도청 시대, 북부지역 '강 건너 불구경'
안동'예천으로의 경북도청 이전이 1년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도청 이전으로 나타날 여러 변화에 대한 신도청권 내 지방자치단체와 단체들의 대응 전략이 전무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경북도가 내년 7월로 도청 이전 시기를 늦췄지만 이들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의 반응은 무덤덤하기까지 하다. 관계기사 8면
이 때문에 신도청권 내 지자체와 지역민들은 실질적 이득을 기존 도청권역 기득권자들에게 고스란히 빼앗긴 채 도청 유치 호재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것이란 우려를 하고 있다. 경북도청 이전에 대비해 경북도와 대구시가 '한 뿌리'임을 강조하는 등 광역 지자체 간 상생 분위기가 높아지고 있지만 정작 도청을 유치한 북부권 지자체들은 대부분 '자기 살 궁리'에만 급급한 실정이다.
경북도는 오는 11월 직원 200명으로 구성된 도청이전 선발대를 신청사에 파견할 예정이다. 경북도청의 원활한 이전을 위한 준비작업과 신도청권 내 지자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위해서다.
그러나 신도청권 지자체들은 이를 대비할 태스크포스조차 출범시키지 못하는 등 대부분 강 건너 불구경하는 형국이다.
도청 이전 지연에 따른 걱정의 목소리도 제대로 나오지 않고 있다. 최근 안동상공회의소가 뒤늦게 성명서를 발표해 "당초 계획대로 올해 이전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히고, 2008년 당시 도청 유치를 위해 안동지역 60여 개 단체가 구성한 '도청이전 안동발전시민회의'가 도청이전 지연에 대한 유감을 표시한 것이 전부다.
도청을 함께 유치한 안동시와 예천군의 행정통합 논의도 없다. 예천에서는 행정 및 정치권을 중심으로 행정통합 논의 자체를 금기시하는 분위기다. 심지어 예천군은 '신도청시대 맞이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군청사 이전 등 도청시대 중심도시로 도약할 자기만의 꿈에 부풀어 있다.
최근 경상북도개발공사가 도청 신도시 내 '주차장 및 업무시설 용지 입찰'을 한 결과를 보면 전체 168명의 입찰 참가자 가운데 안동 주민이 23명(13.7%), 예천 주민 7명(4.2%)이 응찰한 데 비해 대구지역에서 55명(32.7%)이 무더기로 참가했다. 낙찰 결과 안동과 예천 주민은 모두 40건의 용지 가운데 27.5%에 불과한 11건만 가져갔다.
반면 기존 경북도청 주변에 형성된 '대구 산격동 도청 기득권자'들은 신도청 지역으로 근거지 이전을 서두르는 한편 도청 인근과 주 간선도로변 요지를 중심으로 부지 물색에 나서는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여 북부권 지역민들의 대응과 대조를 보이고 있다.
김대일 안동시의원(산업건설위원장)은 "지금부터라도 도청시대 준비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했고 권기창 경북도립대학 교수는 "경북도를 중심으로 북부지역 지자체들 간에 상생발전할 수 있는 논의나 노력이 시급하다"고 했다.
안동 예천 권동순 기자, 엄재진 기자, 권오석 기자, 전종훈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