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십 평생 간절하던 학교생활/ 책가방 속엔 교과서가 가득하다/ 꿈만 같다 내 인생에 학교라니/ 매일매일 꿈만 같다/ 내가 짊어진 책가방이 어릴 적/ 내 동생 포대기가 아닌지/ 오늘도 뒤돌아본다.'(김호순 씨의 '다시 찾은 나의 삶')
늦깎이 학생들의 작품을 모은 시화전이 열려 눈길을 끌고 있다.
대구시교육청은 3일부터 대구도시철도 2호선 반월당역 지하 메트로센터 광장에서 시화전 '나도 시인이다'를 열고 있다. 이 행사가 주목을 받는 것은 대구내일학교 졸업생들의 작품을 모은 졸업 시화전이어서다. 내일학교는 성인을 대상으로 초'중학교 과정을 가르치고 학력을 인정해주는 프로그램. 초등 과정은 명덕초교, 달성초교, 성서초교, 금포초교 등 4곳, 중학 과정은 제일중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다. 학생 대부분은 60대 이상 할아버지, 할머니들이다.
이달 하순 내일학교 졸업장을 받는 이들은 초등 과정 125명, 중학 과정 25명 등 모두 150명. 이 가운데 143명이 시화전에 작품을 내놨다. 이들은 손으로 또박또박 시를 적어 넣고 색연필로 알록달록하게 시의 배경을 그렸다. 삐뚤삐뚤한 글씨는 내용 못지않게 정겨움을 안겨줬고, 잘 그렸다곤 할 수 없어도 정성이 듬뿍 담긴 그림은 시를 한층 돋보이게 했다.
김호순(74'수성구 매호동) 씨는 배움의 한을 풀려고 지난해 9월 명덕초교에 개설된 내일학교에 입학했다. 이달 23일 졸업하는 김 씨는 제일중학교에 진학, 배움의 길을 계속 걸을 작정이다. 그의 시에는 한평생 간절했던 학교생활이 얼마나 좋았는지 잘 녹아 있다. "내가 어릴 적만 해도 딸들은 제대로 공부를 안 시키는 경우가 많았어요. 농촌에 일이 여간 많은 게 아니잖아요. 농사를 돕고 동생도 돌봐야 해 초교 1학년 때 학교를 그만뒀죠. 건강이 따라주는 한 계속 학교에 다니고 싶습니다."
김 씨와 동기인 태옥춘(63'수성구 지산동) 씨는 '떡집 남편'이라는 제목의 시를 썼다. 자신이 뒤늦게 시작한 공부에 시간을 빼앗기는 바람에 떡집을 함께 운영하는 남편이 힘들게 돼 미안한 마음을 표현했다.
"예전만큼 떡집 일을 챙기지 못해 가족들에게 살짝 미안하기도 하지만, 배우는 게 너무 즐거워 그만둘 수 없었습니다. 일과 공부를 병행하느라 피곤해 버스를 타고 등교하면서 잠시 눈을 붙이곤 했죠. 그래도 학교 가는 게 좋았어요. 저를 이해해준 남편에게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어요."
시교육청은 14일까지 시화전을 연다. 우동기 대구시교육감은 "앞으로도 배움의 기회를 놓친 늦깎이 학생들이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