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담적 제거로 역류성식도염 탈출…경희예한의원

경희예한의원은 내장 근육층에 노폐물이 쌓여 굳어지는 담적을 제거해 만성 역류성식도염과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치료한다. 경희예한의원 제공
경희예한의원은 내장 근육층에 노폐물이 쌓여 굳어지는 담적을 제거해 만성 역류성식도염과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치료한다. 경희예한의원 제공

K씨는 늘 명치와 가슴이 답답하고 목에 이물질이 걸린 듯한 느낌이 들었다. 대변도 시원하지 않고, 속이 더부룩한 복부팽만감도 점점 심해졌다. 참다못해 병원을 찾은 K씨는 역류성식도염과 과민성대장증후군이란 진단을 받았다. 그러나 몇 개월 동안 치료를 받아도 별다른 차도가 없었다.

경희예한의원 김신형 원장은 "역류성식도염과 과민성대장증후군의 경우 위장 점막보다는 위장 외벽 근육층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 담적(痰積)치료를 통해 위장 기능을 강화하고 위장 근육층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담적은 위장 외벽 근육층에 노폐물이 쌓여 굳어지는 증상을 말한다. 위장 근육층에 쌓인 담적은 정상적인 위장운동을 막아 소화흡수를 방해한다. 위장 외벽 근육이 정상적인 연동운동을 하지 못하고 조직에 노폐물이 쌓이면 기능 이상을 초래하는 악성 위장병으로 발전한다. 그러나 위장 내부점막을 보는 내시경검사로는 이상 여부가 잘 확인되지 않는다.

대구 수성구 신매동 경희예한의원은 담적치료를 통해 역류성식도염과 만성위염, 과민성대장증후군 등을 전문적으로 진료한다. 이와 함께 한방 다이어트와 호흡기 질환을 진료하고 있으며, 천식, 기관지확장증 치료제 청폐탕에 관한 연구논문을 경희대 한의과대학 생화학연구진과 함께 국제학술저널에 발표한 바 있다.

역류성식도염은 목 안에 이물감이 들고 가슴이 답답하며 소화불량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과다 분비된 위산이 역류하면서 식도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발병 빈도가 높아지는 것도 특징이다. 위산이 역류해서 가슴 부위의 식도와 목 안의 후두를 자극하기 때문에 가슴이 답답하고 목 안에 뭔가 걸린 듯한 느낌이 생기고, 역류된 위산이 후두염을 발생시키면서 만성기침과 가래를 동반한다.

역류성식도염은 위산을 억제하는 제산제나 점막보호제로 치료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위산억제제는 복용 당시에는 위산이 억제돼 증상이 호전되는 듯하지만, 약을 중단하면 증상이 재발하게 된다.

한방에서는 위장 외벽에 이상이 생긴 담적을 고질적인 만성 역류성식도염의 원인으로 진단한다. 담적으로 인한 만성위장병은 전문적인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위장 외벽 근육층이 굳으면 위장의 연동운동이 제대로 되지 않아 음식물의 소화흡수가 느려지고, 이로 인해 위산이 정상보다 과잉분비돼 위산 역류를 일으킨다. 담적이 있으면 위장 근육이 굳어 있고 정상적인 점액은 적은 상태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화제로는 치료가 어렵다. 이 때문에 위장 기능을 정상화시키면서 정상적인 진액을 보강해서 서서히 담적을 풀어주는 치료가 필요하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장 내부 점막에는 특별한 이상이 없으나 잦은 복통과 변비, 설사 등의 증상이 반복되는 질환이다. 장 외벽 근육층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 장 내부의 가스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꾸르륵거리는 소리나 아랫배 팽만감, 대변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과민성대장증후군도 장 내부 점막에는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장염인 경우는 원인균을 제거하고 염증을 치료하면 완치가 되지만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점막의 염증보다는 장 외벽 근육층의 기능 이상에서 원인을 찾아야 한다.

담적으로 인한 만성 위장병은 두통과 만성피로, 불안증을 유발한다. 만성 위장병을 가진 환자의 위장은 조직이 굳고 운동성이 떨어진 상태다. 김신형 원장은 "만성 위장병 환자들은 위장 증상뿐만 아니라 두통이나 어지럼증, 스트레스를 받으면 자율신경에 이상이 생기는 자율신경실조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런 경우 위장병을 치료하면 두통과 어지럼증, 불안증 등의 전신증상도 같이 호전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경희예한의원 053)792-7512.

장성현 기자 jacksou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