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방부-문경시 싸움 군인체육대회 준비 '올스톱'

국방부 뒤늦게 예산 증액, 문경 당초 2배 넘게 부담

규모 면에서 '아시안게임'을 능가하는 세계적 행사인 '2015 경북문경세계군인체육대회' 개최가 1년 앞으로 다가왔지만 제대로 된 대회준비는커녕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의 지루한 경비 분담 '돈 싸움'만 계속되고 있다. '졸속 대회가 될 것'이란 걱정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 2011년 5월 대회 유치 후 대회를 주관하는 국방부는 당초 대회 운영비로 국비 269억원(50%), 경북도와 문경시가 부담해야 할 지방비 161억원(30%), 대기업 스폰서 등 수익금 108억원(20%) 등 538억원을 책정했다.

하지만 이 돈으로는 대회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국방부는 운영비를 기존의 3배인 1천655억원으로 증액, 대회 유치 4년째인 올 들어서야 기획재정부에 요청했다. 이에 기획재정부는 국방부 증액 예산안을 대폭 삭감한 뒤 1천154억원만 국회에 제출, 현재 국회 심의를 기다리는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 파행 중인 국회가 언제 열릴지 미지수이고, 뒤늦게 증액한 대회 운영비를 국회가 그대로 통과시켜줄지도 불확실하다.

국방부와 경북도, 문경시는 예산안 분담 방식을 놓고도 지루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국방부는 이번 예산안 증액 과정에서 경북도와 문경시에 당초 정한 5대3 비율대로 지방비를 증액해달라고 요청했지만 경북도 등은 열악한 지방 재정 사정을 고려해 증액 전 지방비 161억원밖에 분담할 수 없다는 의견을 국방부에 전했다.

경북도는 기존의 대회 운영비 분담 비율을 이번 증액 예산안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도와 문경시가 분담해야 할 금액이 161억원에서 346억원으로 급증, 세계군인체육대회가 지방 재정을 파탄으로 내몰 수 있다며 '증액 전 예산 분담'으로 맞서고 있는 것이다.

스폰서 유치 등 수익금도 9월 29일 현재 전무한 상태다.

문경시 관계자는 "문경처럼 세계 대회 1년을 앞두고 예산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는 전례 없는 일"이라며 "대회 차질을 걱정해야 할 판"이라고 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문경 대회는 국가 차원에서 지원해야 할 세계 대회다. 지금이라도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재정 지원과 조기 집행이 당연하다"고 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증액 예산 국회 통과에는 지방비 부담 30% 원칙이 선행돼야 해 경북도와 문경시의 지방비 증액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회 주최 측은 민간 투자 방식으로 당초 8천700명 수용 규모의 선수촌 아파트 건립을 추진했으나 건설업체들이 대회 후 민간 분양이 어렵다며 투자를 포기함에 따라 110개국 8천700명의 참가 선수들을 문경시 및 경북 8개 시'군 숙박시설에 분산 수용하기로 사실상 결정했다. 이 때문에 참가 선수들은 경북도 내 각 시'군 여관 등지로 열흘간 떠돌이 생활을 하게 돼 경기력 저하는 물론이고 국제적 망신을 살 우려도 나오고 있다.

문경 시민지원위 관계자는 "대회 경비도 크게 모자라는데다 돈 싸움까지 벌어지고 선수촌도 무산돼 선수와 국내외 관광객들을 문경에 모시기 창피할 정도"라고 했다.

문경 고도현 기자 dor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