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4, 5일 강원도 정선군 아리리공원에서 열린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경상북도 대표로 출전한 청도 '이서들소리'와 대구시 대표로 출전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 '상엿소리'가 각각 최우수상과 장려상을 받았다.
이서들소리보존회(회장 최희곤)의 '이서들소리'는 방아타령과 모심기 소리, 논매기 소리 등 사라져가는 전통 민속소리를 신명나게 재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서들소리보존회는 모두 77명으로 지난 6개월간 힘겨운 연습기간을 거쳐 큰 성과를 거뒀다. 특히 권분이(85) 할머니는 개인부문 연기상을 차지했다.
대구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서 전승돼온 상엿소리의 계보는 120년 전에 시작됐다. 대구 전역에서 앞소리꾼으로 유명했던 김철암 옹에 이어 고 김화덕, 오상석(78), 이종수(65) 씨 순으로 4대째 계보가 이어지고 있다. 설화리의 상엿소리는 잡소리가 섞이지 않는 게 특징이다. 부모 품에서 태어나고 자라 저승으로 떠나가는 과정을 슬픈 곡조에 담고 있다. 특히 상을 치르는 전 과정을 순차적인 흐름에 따라 구성하고 연극적인 요소를 가미한 점이 특징이다. 설화리 상엿소리는 다음 달 14일 영남대에서 열리는 '제1회 한국 전통 상례문화 전승 및 세계화를 위한 국제학술 세미나'에서 공연을 할 예정이다.
이승율 청도군수는 "지역 어르신들의 열정이 모여 결실을 거두었으며, 앞으로 이서들소리가 잘 전승'보존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문오 달성군수는 "이번 수상을 계기로 지역의 우수한 전통문화로 전승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1958년 처음 개최된 한국민속예술축제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민속축제로 전국에 흩어져 있는 민속예술을 발굴'보존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 축제에는 전국 각 지역 시'도 대표 20개 팀이 참가해 열띤 경연을 펼쳤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