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화융성도 지방은 소외…관련長 서울출신 독점

우리나라 문화계의 '중요한 자리' 대부분이 수도권 인사로 채워져 박근혜정부의 국정 기조인 '문화융성시대'가 서울 중심의 문화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강은희 새누리당 국회의원(비례)이 최근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3년부터 현재까지 문광부 소속 44개 공공기관과 7개 국립예술단의 대표를 역임한 180명 중 수도권 출신 인사가 9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 의원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44개 공공기관의 역대 기관장 154명 중 서울 출신 인사는 135명(87.7%)에 달했고, 그 뒤를 각각 4명씩인 경기와 부산이 이었다. 대구경북 출신 인사는 이 기간 동안 3명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7개의 국립예술단 경우는 28명의 단장 중 서울 출신이 24명(85.7%)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와 해외 출신이 각각 2명씩이었다. 대구경북 등 다른 지역 출신은 꿈도 못 꾸는 자리인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현 정부의 3대 국정 기조인 '문화융성'을 주도하고 있는 문화융성위원회 23명의 위원 중에서도 서울경기 지역 활동 인사가 22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특별'전문위원회 위원 48명 중에서도 41명이 수도권 출신 인사로 채워졌다.

강 의원은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기관장들은 우리나라 문화'체육'관광분야의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사업을 실질적으로 집행하는 역할을 한다"면서 "이런 자리에 수도권 인사들로만 편중돼 있어 서울 수도권 중심 사고와 정책만 쏟아내고 지역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또"현 정부에서도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받았던 지역문화 발전과 전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융성시대를 주창하고 있지만 재정투입 확대만으로 이룰 수 없는 정책 목표"라면서 "문화정책입안을 주도하는 주요 자리에 소신과 전문성이 있는 지역 문화인들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인적 교류를 활발히 할 수 있도록 문화 발전의 새로운 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