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신도청시대를 앞두고 국립 안동대와 경북도립대의 통합론이 피어오르고 있다. 도청 이전지가 결정된 2008년부터 두 대학 통합과 관련해 학계와 정계, 지역 시민단체 등에서 필요성을 제기했지만 여론과 정치권 등의 이해가 엇갈리면서 통합 추진은 지지부진하다.
◆전국 신도시마다 자족도시 위한 대학 유치 노력
전국적으로 신도시마다 자족도시를 만들기 위해 수도권 대학과 대학원, 대학병원, 연구기관 등 유치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설립 보조금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지원책으로 내놓으면서 대학 유치에 나서고 있다.
세종시 경우, 세계대학평가에서 상위 200위권 내 국내'외 대학이 진출하면 정부에서 건축비를 최고 25%까지 지원할 계획을 밝혔다. 충남 내포 신도시도 건양대 제2병원을 비롯해 공주대 한방병원, 한선대 의대 신설 및 부속 한방병원 건립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북도청 신도시에도 대학 1곳의 설립 계획이 발표되면서 안동대와 경북도립대 등 지역 대학들의 고민이 심각해지고 있다.
자칫 신도시에 수도권 대학들이 진출할 경우, 두 지역대학의 존립과 경쟁력에 큰 상처를 입힐 것이 분명해 지금부터라도 적극적인 고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양 대학은 국립대와 도립대라는 소속의 문제와 학생 수 등 규모를 따져 '일대일 통합'보다는 정책적'전략적 통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경북도립대는 자체적인 개혁안을 마련했을 뿐 통합에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경북도립대, 도의회 무용론제기 등 발등의 불
경북도립대는 지난 1997년 정원 360명으로 개교한 이래 해마다 신입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중이다. 수도권 집중화 등 대학을 둘러싼 환경 악화로 2004년에는 신입생 충원율 36%라는 최악의 시련을 겪기도 했다.
지난해 경북도의회에서는 도비 지원 의존이 심해 경북도립대를 폐교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됐었다. 당시 황이주 경북도의원은 도정질문 자료를 통해 "2011년 경북도립대 세입 예산 85억여원 중 학생 납입금은 20%도 안 되는 16억원에 불과하고 도비가 무려 62억3천만원이나 지원됐다. 이 가운데 인력 운영비가 35억4천만원으로 학생 납입금의 2배 이상을 차지한다"며 안동대와의 통합을 주장하기도 했다.
김규덕 경북도립대 행정학과 교수는 "안동대와의 통합 논의는 안동과 예천이 공동으로 도청을 유치하면서부터 불거지기 시작했다"며 "최근엔 도립대학의 현실상 교수들이 국가나 지자체에서 발주하는 각종 용역사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 등이 제기되면서 학교 측은 4년제 전환이나 안동대와의 통합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하지만 경북도립대는 지난 7월 신도청시대를 맞아 신도시 주민을 위한 평생교육체계 구축 및 지역발전의 싱크탱크 역할 수행 등 공익적인 역할 확대방안을 마련, 공립대로서 계속 독자 생존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안동대, 경북도립대와 통합으로 경쟁력 확보
안동대는 전임 총장 시절 약학대 유치를 위해 경북대와 통합을 추진했지만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 이에 따라 안동대는 최근 3, 4년 전부터 교내 교수들로 구성된 연구회를 중심으로 경북도립대와의 통합 논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안동대는 최근 외부 전문기관에 통합과 관련 용역을 통해 합리적인 방안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동대 측은 신도청 캠퍼스를 경북도립대와 통합된 캠퍼스로 운영해 경북도립대로 지원되는 80억원 상당의 예산을 4, 5년간 통합캠퍼스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그 이후 통합캠퍼스가 자립하면 그 지원금을 대폭 축소시켜 경북도 재정에도 부담을 덜어줄 생각이다.
이종길 안동대 기획처장은 "신도청 입주민들의 안정된 교육을 위해 공립대가 들어서야 하며 그 명분을 위해 안동대와 경북도립대의 통합캠퍼스가 들어서는 것이 최상이다. 통합과 관련된 용역 결과가 내년 초 공청회 등을 통해 발표될 것이며 그 시점에서 각계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할 생각"이라고 했다.
예천 권오석 기자 stone5@msnet.co.kr 안동 전종훈 기자 cjh49@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