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태호 사퇴, 차기 대권 승부수?

새누리당 김태호 최고위원이 23일 최고위원직을 전격 사퇴하면서 견고할 것으로 보였던 김무성 체제에 균열이 생겼다. 박근혜 대통령의 '개헌론은 경제 블랙홀' 논리를 적극 옹호하며 김무성 대표를 궁지로 몰아넣은 모양새가 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김 최고위원의 사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면서 향후 정치권에 어떤 파장을 몰고 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국회가 도대체 무엇을 하는 곳인지, 무엇을 할 수 있는 곳인지, 밥만 축내는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면서 "나 자신부터 반성하고 뉘우친다는 차원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사퇴밖에) 아무것도 없다"고 돌연 최고위원직 사퇴를 선언했다.

김 최고위원은 특히 "이완구 원내대표, 김무성 대표는 이번 정기국회에 계류된 경제활성화법을 직을 걸고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국회를 향해 '경제활성화 법안만 제발 좀 통과시켜달라. 지금이 바로 골든타임이다'라고 애절하게 말씀해 왔다"면서 "그런데 국회에서 어떻게 부응했는지 돌아봐야 한다. 오히려 개헌이 골든타임이라고 하면서 대통령한테 염장을 뿌렸다"고 비판했다.

개헌론을 촉발시키면서 청와대와 충돌했던 김무성 대표를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선 김 최고위원의 갑작스러운 사퇴를 청와대와의 교감과 연결시키는 분위기다. 또 친박계를 향한 러브콜로 보는 시각도 나온다. 일각에선 차기 대권을 향한 '승부수'를 던진 것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그만큼 김 최고위원의 사퇴를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새누리당 한 당직자는 "국회의 무기력함 때문이라면 최고위원이 아니라 국회의원직을 사퇴하던가, 아니면 당 지도부를 상대로 열심히 투쟁하는 모습을 먼저 보였어야 한다"며 "또 줄곧 개헌을 주장해왔던 김 최고위원이 내놓은 사퇴의 변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무성 대표로서는 김 최고위원의 사퇴로 곤혹스러운 상황에 놓였지만, 정치권 안팎의 반응은 현 지도부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김 최고위원의 사퇴가 큰 명분을 갖추지 못하는 만큼 조기에 봉합될 것이란 얘기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