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갈등에 묶인 청소車…경산 쓰레기 대란 오나

경산시와 경산시 생활폐기물 위생매립장 인근 주민 대표들로 구성된 주민지원협의체 사이에 쓰레기 반입'처리 문제를 놓고 대립과 마찰이 수년째 계속되고 있다.

주민지원협의체는 5일 새벽에도 수거'운반해 온 생활폐기물에 대한 전수조사를 계속해 '경산시 매립장 조성 협약서'를 위반해 쓰레기를 싣고 온 청소차량에 대해 적발 확인서를 발부했다. 이 확인서는 이달 3일부터 발부해오고 있다. 주민지원협의체는 '매립장에는 생활폐기물만 매립할 수 있다'는 '경산시 매립장 조성 협약서'(2004년 1월 체결)를 근거로 적발 확인서를 발부하고 있다. 협약서에 따르면, 음식물과 재활용 폐기물 등은 반입할 수 없다.

이에 대해 경산시 관계자는 "반상회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주민들에게 쓰레기 분리 배출을 홍보하지만 미흡한 측면이 있다. 그렇다고 해도 생활폐기물 외에 음식물 폐기물 등이 조금 섞여 있다는 이유로 협약서 위반 확인서를 발부하는 것은 상식에서 벗어난 것"이라고 했다.

이 때문에 시는 주민지원협의체 측이 음식물 및 재활용 폐기물 반입 적발 확인서를 통보해 와도 청소차량 운행 정지 등의 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와 주민지원협의체 사이의 대립과 마찰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6년 10월부터 매립을 시작한 경산시 생활폐기물 매립장은 2012년 10월 29일부터 8일간 쓰레기 반입이 중단되는 등 수차례 쓰레기 반입 중단사태가 벌어졌다.

이런 갈등이 계속 빚어지는 이유는 경산시와 주민지원협의체 간의 입장 차이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주민지원협의체는 현재로선 '경산시 매립장 조성 협약서'를 위반해 음식물'재활용 폐기물이 반입되더라도 딱히 제재할 방법이 없는 만큼 인근 주민들에 대한 충분한 보상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시는 주민지원협의체의 요구 사항이 지나치다는 입장이다.

최근 주민협의체 위원장은 경산시장과의 면담에서 ▷소각장 준공 후 반입수수료의 연 1억원 정액화 ▷주민건강진단비 인상 ▷매립장 내 기존 도로를 신설 소각장과의 연결도로로 사용하지 말 것 ▷주민지원협의체와의 별도 협약 체결 등을 요구했다.

시는 반입 수수료 요구와 주민건강진단비 인상 등은 세부사항 조율 등을 통해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나머지 요구 사항은 수용불가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이번에도 폐기물 전수조사를 통해 협약서 위반을 문제 삼고 있지만 실제로는 협상에 유리한 카드를 쥐기 위한 행동으로 본다"고 했다. 앞으로 양측의 협상이 어떻게 진행될지에 따라 자칫 쓰레기 대란으로 번질 가능성도 남아있다. 경산 김진만 기자 fact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