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돈 먹는 하마'버스 준공영제 3각 해법찾기

시민단체-대구시-업체 간담회 허심탄회한 의견

시민사회단체와 대구시, 시내버스조합이 한자리에 모여 '돈 먹는 하마' 논란을 빚고 있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해법을 놓고 머리를 맞댔다.

대구YMCA와 대구참여연대는 19일 대구YMCA에서 정명섭 대구시 건설교통국장, 최균 대구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시내버스 준공영제와 관련해 각각의 입장과 해결 방안 등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나눴다.

이날 간담회에선 시내버스 전용차로 확대 운영 및 배차시간 단축, 불법 주'정차 강력 단속 등 시내버스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됐다. 또 시내버스 활성화를 위해선 도시철도와 버스 간의 승객 쟁탈전이 아닌 자가용 운전자들을 대중교통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시민사회단체들은 해마다 수백억원씩 지원되고 있는 시내버스 운영 적자 보전금을 '0원'으로 만들기 위한 사회협약 체결을 제안하기도 했다.

김경민 대구YMCA 사무총장은 "노선별, 업체별 목표 경영, 책임경영 제도 도입, 시와 버스조합의 정책 현실화 및 목표 경영 실현을 위한 사회환경 조성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사무총장은 "시내버스 활성화를 위해선 9년 동안 방치됐던 준공영제에 대한 내부 혁신이 필요하다"며 "준공영제를 시행하면서 수요 확대를 위한 정책을 내놨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했다. 준공영제를 처음 시행한다는 생각으로 이제라도 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금수 대구참여연대 사무처장도 "시내버스의 역할과 수송분담률 등을 고려할 때 시내버스에 대한 지원 규모가 도시철도에 들어가는 재정지원 및 적자에 비해 결코 크다고 할 수 없다"며 "오히려 시내버스도 도시철도만큼 편의성과 정시성을 갖추기 위한 투자를 해야 한다"고 했다.

이들은 또 "대구의 대중교통 중심은 시내버스가 돼야 하고 이를 위한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배차간격 축소 ▷버스 전용차로제 도입 ▷불법 주'정차 강력 단속 ▷버스 중심 교통신호체계 조정 등을 제시하기도 했다.

최균 대구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은 시내버스의 수송분담률을 높이기 위해선 배차간격 축소가 가장 중요하고, 순환선 등 노선 수 축소, 전용차로 확대에 따른 정시성 확보 등을 강조했다. 그는 "구간제 요금, 정기권 및 통학권 등 요금제 다양화를 통해 승객을 끌어들여야 한다"며 "또 서울의 타요버스나 제주 황금버스처럼 이벤트를 통해 버스 친근감을 높이고 직접 타보게 해 활성화시키는 것도 중요하다"고 했다.

이와 관련, 정명섭 대구시 건설교통국장은 "대구 시내버스의 가장 큰 문제는 수송분담률로 대중교통 이용 총량이 얼마인지부터 파악해야 한다"며 "같은 맥락에서 대구시가 시내버스에 어느 정도까지 재정 지원을 해 줄 수 있는지 현실을 직시하고, 지원 한계가 오기 전에 대책을 세우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호준 기자 hoper@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