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창업 기업, 골든타임은 2년

통계청 기업생멸 통계 분석

대구에서 창업한 기업들의 10곳 가운데 4곳은 1년 안에 폐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창업 3년 째부터 기업 생존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에서 창업한 기업들의 10곳 가운데 4곳은 1년 안에 폐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창업 3년 째부터 기업 생존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 창업 기업 10곳 중 4곳은 1년 이내에 문을 닫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창업 이후 5년이 지난 기업의 생존율은 전국 최고 수준이어서 일단 초기 고비를 넘긴 지역 기업들이 '장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년만 버티자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지난해 기업 생멸 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대구 기업의 5년 생존율은 32.4%에 달해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30.9%보다 1.5%포인트(p) 높은 수치로 경기도 32.1%, 서울 31.6%, 인천 29.8% 등 수도권보다 월등히 높았다. 생존율이 가장 낮은 대전(26.1%)과는 무려 6.3%p 차이가 났다.

하지만 창업 1, 2년 차 생존율은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1년 생존율의 경우 60.3%에 불과해 전국 평균(59.8%) 보다 0.5%p 높은 것에 그쳤으며 2년 차 생존율(47.1%)도 전국 평균보다 0.8%p 차이 난 것에 불과했다.

하지만 3년 차 생존율부터는 전국 평균과 1.5%p 차이로 벌어지기 시작했고, 4, 5년 차 생존율도 3년 차와 같은 1.5%p로 꾸준했다. 이는 대구 창업 기업의 경우 창업 이후 3년 차가 되면 생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전국에서 가장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창업 이후 초기 1, 2년을 잘 버티면 다른 지역보다 장수한다는 사실이 이번 통계에서 드러났다.

경북의 경우 5년 생존율은 전국 평균(30.9%)과 비슷했다. 창업 5년 차 기업 생존율이 31.0%에 달했기 때문이다. 5년 차 생존율은 전국 평균과 0.1%p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자세히 살펴보면 대구와 같은 양상이다. 1년 차 생존율이 59.1%로 전국 평균보다 0.7%p 낮게 출발했으나 3년 차 -0.6%p, 4년 차 -0.3%p를 기록하면서 5년 차에서는 전국 평균보다 높게 나오는 등 시간이 지날수록 생존율이 높아졌다.

◆안심은 금물

대구와 경북에서 창업한 기업들 10곳 가운데 4곳은 1년 안에 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생존율이 대구 60.3%, 경북 59.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 같은 기업 생존율은 해마다 뚝뚝 떨어진다. 대구 기업의 생존율은 창업 2년 차에선 47.1%, 3년 차 39.5%, 4년 차 34.9%로 낮아졌다. 그러다 창업 이후 5년까지 버틴 기업들은 전국 32.4%, 다시 말해 10곳 가운데 3개 기업만 버틴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보면 대구경북에 창업한 기업 수도 소폭 줄었다. 대구의 경우 지난해 활동하고 있는 기업 수는 총 25만6천 개로 전년 대비 2천여 개가 줄었고, 같은 기간 경북에서 활동한 기업들도 26만3천 개에서 2천 개가 없어졌다.

지난해 대구 지역 창업 기업 신생률은 13.0%를 차지했으나, 소멸률은 13.4%로 창업 기업보다 사라진 회사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북도 신생률 13.0% 대비 소멸률이 0.8%p 많았다.

전국 평균과 비교하더라도 대구경북의 신생률은 비슷하거나 약간 떨어졌으나, 소멸률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차이가 났다.

◆전국의 창업기업 생존율은

전국적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창업 기업 수는 74만9천 개로 전년보다 2.7%(2만1천 개) 감소했다. 전체 기업 중에서 창업 기업이 차지한 비중(신생률)은 13.9%로 전년(14.3%)보다 0.4%p 떨어졌다.

반면 2012년 기준으로 폐업 기업 수는 74만1천 개로 전년보다 7.2%(5만8천 개) 늘었다. 전체 기업 가운데 폐업 기업의 비중(소멸률)도 전년(12.9%)보다 0.9%p 높은 13.8%였다. 특히 1인 기업의 폐업률이 높았다. 전체 폐업 기업 중 1인 기업 비중이 93.2%에 달했다. 폐업 기업 수는 폐업신고를 하고도 영업을 하는 경우가 많아 창업 기업보다 1년 시차를 두고 최종 집계된다.

창업한 후 기업이 유지되는 생존율도 떨어졌다. 2012년 기준 창업 기업의 1년 생존율은 59.8%에 불과했다. 나머지 40.2%는 창업한 지 1년도 되지 않아 폐업했다는 얘기다. 1년 생존율은 2008년 61.8%에서 계속 낮아졌다. 2007년 창업한 기업 중 5년 동안 생존한 비중(5년 생존율)은 30.9%에 그쳤다.

상용근로자가 10명 이상인 기업 중 최근 3년간 연평균 20% 이상 고성장한 기업은 지난해 4천581개로 전년(5천103개)보다 10.2%(522개) 줄었다. 같은 시기 고성장한 기업 중 창업한 지 5년 이하인 기업(가젤기업) 수는 1천76개로 전년(1천147개)보다 6.2%(71개) 감소했다.

박상전 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