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현대백화점 건축'준공허가 당시 백화점 개점으로 빚어질 이 일대 교통대란에 대해서 사실상 손을 놨던 것으로 드러났다. 도심 한가운데 대규모 교통유발시설물이 들어서 교통혼잡이 예상됐지만, 시는 대한교통학회 등이 제안한 차량 소통 대책을 무시해 대구시민들에게 큰 불편을 안겨주고 있다.
본지가 '현대백화점 개점에 따른 교통영향평가'를 근거로 지난달 28일 중구 반월당네거리→계산오거리로 진행한 차량을 살핀 결과, 1시간 동안 이 구간을 통과한 차량은 모두 2천932대. 교통영향평가를 위해 2008년 4월 6일(일요일 같은 시간) 조사한 통행량 1천825대보다 1천107대(60.7%)가 많았다.
시민들이 느끼는 이 구간 정체가 사실로 확인된 것이다. 이 같은 차량 정체는 교통영향평가 당시에도 예측됐다. 교통영향평가는 백화점이 들어설 경우 2015년이면 이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이 2천996대로 늘 것이라 예상했다. 본지가 실사한 차량 수와 크게 다르지 않다.
대구시는 이같이 교통혼잡이 빚어질 것을 알았지만 대책엔 사실상 손을 놨다. 시가 용역 의뢰한 교통학회가 2011년 '백화점 지하 3층과 메트로센터 지하 3층 연결통로 설치'와 '진출부분(달구벌대로 약 50m 구간) 1개 차로 확보' 등을 차량 분산대책으로 제안했다. 하지만 시는 연결통로 설치안만 받아들였을 뿐, 차로 확보안에 대해선 "개점 후 문제가 발생할 때 이를 검토하겠다"며 수용하지 않았다. 개점 후 차량 체증이 현실화됐으나 시는 차로 확보와 관련, 아무런 논의조차 하지 않았다.
달구벌대로를 거쳐 백화점 남쪽으로 진입하는 차량 흐름을 원활하게 하려면 버스정차대(교통섬)를 설치하고, 동아쇼핑 앞 택시승강장을 폐지해야 한다는 교통학회의 제안 역시 심의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버스정차대를 만들면 공개공지(도심에 건물을 짓는 건축주가 땅 일부를 대중에게 휴식공간 등으로 제공하는 땅) 면적이 줄어 법적 기준에 맞지 않게 된다는 게 이유였다.
결국 대구시건축위원회 심의를 통해 확정된 서성로와 국채보상로, 남성로 등 주변도로 교통대책은 '불법 주'정차 단속 건의'뿐이었다. 시는 백화점으로 인한 도로 혼잡 책임을 구청의 단속에만 떠맡긴 셈이다.
대구시 교통정책과 관계자는 "대책으로 나왔던 버스정차대 설치는 보행자 안전과 에스컬레이터 이전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사실상 수용하기 어렵고, 택시승강장 폐쇄는 앞으로 정책적으로 판단할 여지가 있다"며 "백화점이 개점한 지 3년이 지난 만큼 주변 교통환경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다시 연구'분석해 새로운 교통대책을 세울 계획이다"고 했다.
서광호 기자 kozmo@msnet.co.kr
김봄이 기자 bom@msnet.co.kr
홍준표 기자 agape1107@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