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월부터 대구 북구 매천동에서 스크린골프장을 운영하는 유부상(48) 씨는 "골프존 때문에 삶이 파탄 날 지경이다"고 하소연했다.
"골프존의 기기 판매 남발로 근방에 스크린골프장이 수두룩하게 생기면서 수익성은 나빠지는데, 돌아서면 버전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니 더는 버틸 힘도 의지도 없어져 버렸습니다."
13일 오후 2시에 찾은 유 씨의 스크린골프장은 파리만 날리고 있었다. 4개의 방 중 3곳은 비어 있었는데 유 씨는 저녁이나 휴일도 별반 다르지 않다고 했다. 지난해 초부터 1년째 이런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는 유 씨는 "방 하나 설치하는 데 1억원을 쏟아부었는데, 한 곳당 하루에 10만원도 벌지 못하니 살 수가 없다"고 했다.
1년간은 벌이가 괜찮았다. 개업 초기에는 한 달에 600만~700만원을 벌었다. 그러나 1년이 지나자 겨우 벌고 쓰는 돈을 맞출 정도였고 지난해부터는 아예 적자다.
유 씨가 개업할 때만 해도 반경 1㎞ 내 4곳이던 스크린골프장이 2014년 2곳이 더 생겨 지금은 6곳에 이른다. 손님이 분산되면서 벌이는 시원찮아졌고 문을 열면 유지비도 건지지 못해 손해로 이어졌다.
'골프존 리얼'에서 1대당 3천만원을 들여 2곳을 '골프존 비전'으로 바꾸면서 또다시 돈을 쏟아부었지만 나아지는 건 없었다.
그는 손님을 한 명이라도 더 받기 위해 서비스를 강화하고, 손님의 골프 가방을 주차장까지 들어주며 다음에도 꼭 오라고 당부하기도 했지만 수입은 늘어나지 않았다. 결국 버전 업그레이드를 하지 못한 2개의 방은 골프 연습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스크린골프장을 차릴 때 빌린 돈도 다 갚지 못한 상태인데, 임대료와 골프존 프로그램 사용료인 R캐시, 여기에다 비품비, 공과금, 간식 서비스 등으로 나가는 돈만 한 달에 700만원이나 된다.
참다 못한 유 씨는 지난달 29일 서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열린 제2차 전국골프존 사업자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에서 전국 스크린골프 업주들의 동참을 호소하며 삭발했다.
"20년간 식당을 해 모은 돈을 다 털어 넣었는데 빚은 자꾸만 늘어 결국 집을 내놨습니다. 야식을 배달하느라 어머니 임종도 지키지 못하며 모은 돈인데, 골프존이 모든 것을 빼앗아 갔습니다."
홍준표 기자 agape1107@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