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대구에서 열리는 '세계물포럼' 행사에 세계 각국 정부와 지자체, 물 관련 외국기업들의 참가 문의가 줄을 잇고 있다고 한다. 대구시가 12일 "전시회 유료 부스 판매 목표(700개)를 이미 넘어섰고 부스 확보를 위해 국내외 기관들이 대기할 정도"라고 밝혀 이 행사에 대한 관심도가 높음을 증명했다. 세계 물 정책, 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네트워크, 물산업 발전의 중요성과 포럼 개최 의의 등을 떠나서 높은 부스 판매율만으로도 일찌감치 대회 성공을 예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3년마다 열리는 세계물포럼은 물 분야에 있어 최대 규모의 국제행사다. 역대 물포럼만 봐도 최대 190개국의 정부와 지자체, 학계, 시민단체, 물 관련 기관'기술연구소, 물산업 기업 등 참가자 수만도 3만 명을 훌쩍 넘어선다. 대구경북에서 열리는 7차 세계물포럼을 위해 현재 유럽과 북남미, 아시아 등 각국이 '국가관' 운영을 준비 중이고 26개국 국내외 112개 기관이 부스를 신청했다.
이번 물포럼 개최는 대구경북이 세계적 이목을 끌 수 있는 좋은 기회임은 물론 지역 물산업 발전과 지역기업의 해외 진출, 대구 물산업클러스터 조성 등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데도 디딤돌이 되는 중요한 행사다. 당장 3천500억원의 예산으로 올해부터 대구 국가산단에 조성될 물산업클러스터의 경우 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론 대구가 물산업 중심도시로 변신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할 국가 프로젝트다. 그러려면 먼저 세계물포럼에 대한 지역민의 관심도를 높이고 호응을 이끌어내는 게 급선무다.
개막까지 앞으로 90일밖에 남지 않았다. 자원봉사자 모집도 신청자가 2배 가까이 몰리는 등 순조롭다. 하지만 이렇게 비중이 큰 국제행사에 지역민의 관심도가 극히 낮다는 점은 매우 아쉽다. 과거 지역에서 열린 각종 국제행사처럼 세계물포럼 관련 정보를 시민이 쉽게 접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물포럼만큼은 홍보 전략을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 홍보관이나 공식 홈페이지, 플래카드 등으로는 시민에게 가까이 다가가기에 무리다. 모바일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개최 사실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전국적으로 범위도 넓혀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