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양띠 해, 서민은 서글프다. 가진 자들은 울고 싶은 서민들의 뺨을 후려갈긴다. 대한민국호는 이런 서민들의 아픔쯤이야 아랑곳없이 역주행 중이다. 경제 규모 면에서 볼 때, 전체 파이는 더 커졌다지만 상대적 박탈감은 하늘을 찌를 기세다.
나라를 건강하게 지탱해 줄 중산층은 1997년 말 외환위기(IMF) 이후 갈수록 옅어지고 있다. 경제적 계층구조는 항아리형(중산층이 두터움)에서 피라미드형(하위층이 더 많음)으로 옮아가고 있다. ▷가진 자의 슈퍼 갑질 ▷개천에서 용 안 나는 사회 ▷10년 넘게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저출산 세계 1위 ▷승자 독식의 천민자본주의 ▷극단적인 집단이기주의 ▷끊이지 않는 대형참사와 각종 사건사고 ▷세대 간 단절 등 서민들이 살아가기에는 살벌하다.
대구에 사는 한 40대 서민은 하루하루가 고통이다. 박봉(월 200만원)에 직장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고개 숙인 남자다. 쓴 소주 한 잔도 맘 편히 마시지 못할 정도다. 사업에 실패해 대리운전만으로 두 아이를 키우며 생계를 꾸린다는 한 대리기사의 얘기는 가슴을 먹먹하게 한다.
현 시점에서 볼 때, 이 나라 서민들에겐 '행복'이라는 단어가 사치일지 모른다. 새해 벽두에 한국리서치가 조사한 신년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우리 사회가 행복하다'고 느끼는 경우는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은 저임금계층이 24.5%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고, 임금 불평등은 상위와 하위의 차가 5배로 멕시코 다음으로 심하다"고 분석했다.
기획취재팀 권성훈 기자 cdrom@msnet.co.kr
신선화 기자 freshgir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