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민관이 적극 협력해 대구유통단지 재생시켜라

경기 부진으로 계속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종합유통단지를 되살리기 위해 활성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높다. 국내 최초'최대의 도소매 유통단지로 출범 15년을 넘긴 대구유통단지는 그동안 취급품목 제한에 따른 마찰과 입점 업체 간 이해관계 등 갖가지 문제점이 불거지면서 갈수록 빛을 잃었다. 유통단지 활성화는 단순히 업체들의 이권보호나 현상 유지 차원이 아니라 대구 경제를 떠받치는 거점시설을 되살리는 중요한 기회라는 점에서 새판짜기를 통한 근본적인 재생 노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유통단지 침체의 근본 배경에서부터 발전 전략 등 정책적 문제점, 단지 활성화를 위한 민관의 협력 부재 등 그 원인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분석이 선행해야 한다. 현재 유통단지는 업종 간 명암이 서로 갈리면서 편중 현상이 심화하고 단지 전체의 균형 있는 성장이 완전히 무너진 상황이다. 산업용재관과 전기재료관, 전기조명관 등 일부 공동도매관은 수용 공간이 부족할 정도로 포화상태인데 반해 섬유관'의류관'전자관'전자상가 등은 계속 빈 점포가 늘고 대신 가구업체가 대거 입주하면서 마찰이 커지고 갖가지 문제점도 계속 불거지고 있다.

이에 공동관별로 판매 품목을 제한한 지구단위계획을 완화하거나 외부 투자가 가능하도록 규제를 완전 폐지하자는 주장이 계속 나오는 것이다. 2010년과 2011년 유통단지 활성화 방안 수립과 지구단위계획 변경 용역 등 정책 수정 시도도 있었다. 하지만 대구시가 적극 나서서 계획을 조정하는 등 노력을 다하지 않아 실패로 돌아가면서 결국 몇 년의 아까운 시간만 흘려버렸다.

이번에도 대구시가 유통단지의 문제점과 과제를 적극 해결하지 않고 미적댄다면 단지 조성 취지와 지속적인 발전이라는 실리 모두를 잃는 건 불을 보듯 뻔하다. 이제 중심을 잡고 업체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설득'조정하는 등 합리적인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지구단위계획을 폐지해서라도 유통단지를 살려야 한다. 입주 업체들도 개인 이익에만 집착할 게 아니라 공동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는 지혜를 발휘해 유통단지 재활에 적극 나서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