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전 세계가 깜짝 놀란 아베의 '미국 교과서에 경악' 망언

아베 일본 총리가 미국 맥그로힐 출판사가 펴낸 교과서에 '일본군이 최대 20만 명에 달하는 여성을 위안부로 강제 모집'징용했다'는 내용이 담긴 사실을 듣고 "정말로 경악했다"고 했다. 역사적 사실에 경악한 것이 아니라 역사를 왜곡했다며 경악했다는 것이다. 아베는 '정정해야 할 것을 국제사회에서 바로잡지 않은 결과'라며 소송을 통해서라도 조직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제3국 교과서를 두고 제2차대전 전범국 총리가 '정정해야 할 대상'으로 본 그 양심이 놀랍다. 하물며 일본 법무성 내에 송무국을 신설해가며 전략적인 대응을 하겠다는 대목에선 할 말이 없다. 아베의 발언은 지난해 말 외교 공관을 동원해 출판사와 저자들을 설득하려던 1차 시도가 무산되자 나왔다. 출판사를 향한 역사 수정 시도가 어긋나자 총리가 나서 소송 운운하며 관련기관을 압박하고 나선 것이다.

역풍은 드세다. 위안부 문제를 다룬 맥그로힐 출판사는 "학자들은 '위안부'라는 역사적 사실을 지지한다. 우리는 명백히 교과서 저자들의 저술과 연구, 표현을 지지한다"고 아베의 주장을 일축했다. 뉴욕 타임스도 "역사를 바로 알리려는 한국을 저지하겠다는 아베 총리의 시도는 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독일 언론도 3월 방일하는 메르켈 총리에게 '일본에 가면 아베에게 역사 다루는 법 좀 가르치라'고 훈수했다.

아베가 이런 국제 사회의 뜻을 모를 리 없다. 그럼에도 제 갈 길을 가겠다는 것은 언젠가는 역사를 덮을 수 있다는 노림수다. 그러니 자국 교과서에서부터 위안부 관련 기술을 없애기로 했다. 우리나라 역시 전략적 대응이 절실하다. 위안부 문제뿐 아니라 일제가 저질렀던 모든 만행에 대해 치밀히 연구'조사하고 사료로 뒷받침해 전 세계에 알리는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 그래야 세월이 흘러도 역사는 묻을 수 없다는 사실을 아베가 깨닫게 해줄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