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의 새 원내대표에 유승민 의원이 당선된 것은 현 상황을 위기로 규정하고 '변화'와 '혁신'을 내세운 유 의원의 상황 인식이 공감을 얻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친박인 이주영 의원이 총 투표수 149표 중 절반에도 못 미치는 65표를 얻는데 그치며 패배한 것은 그가 내건 '소통'과 '화합'으로는 지금의 위기상황을 돌파할 수 없다는 당의 판단을 드러내 준다. 그런 점에서 앞으로 유 원내대표가 어떤 변화와 혁신을 꾀할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해 제일 먼저 요청되는 것이 국정운영 난맥의 수습이다. 현재 박근혜정부의 국정운영은 혼돈 그 자체이다. 정부와 청와대가 '증세 없는 복지'가 몰고 온 '연말정산 파동'에 데여 정작 필요한 건강보험 개혁을 돌연 백지화한 것은 대표적인 예다. 이는 박근혜정부가 포퓰리즘의 유혹에 넘어가고 있다는 신호다. 유 원내대표는 이런 흐름에 강력히 제동을 걸어야 한다. 가장 화급한 것이 '증세 없는 복지'라는 도그마의 폐기다. 이미 유 의원은 '중(中) 부담-중(中) 복지'로 복지를 재설계하자고 한 바 있다.
이 같은 과제를 일관성 있게 추진하려면 당'청 관계의 재설정이 필요하다. 그동안 정책 입안이나 추진 과정에서 당'정'청 간 소통은 매우 부족했다. 특히 주요 정책에서 당이 소외되는 현상은 심각할 정도였다. 그러다 보니 청와대와 정부, 새누리당의 행보는 엇박자를 내기 일쑤였다. 유 의원은 당선 뒤 "제가 원내대표가 되면 당'정이 콩가루가 될 것이라는 얘기가 있지만"이라고 했으나 이미 당'정'청 관계는 콩가루였다.
이러한 상태를 유 의원의 다짐대로 '찰떡'찹쌀가루 집안'으로 만들려면 청와대에 "아니오"라고 해야 할 때는 확실하게 아니오라고 해야 한다. 협조하되 견제할 때는 견제하는 건전한 긴장관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서는 박근혜 대통령과 얼굴을 붉히는 일도 피하지 말아야 한다. 유 원내대표는 그동안 기회 있을 때마다 청와대를 향해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아 견제 역할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이러한 협조와 견제 시스템이 지향하는 바는 박근혜정부의 성공인 만큼 박 대통령도 열린 자세를 가져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