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국회의원이 새누리당 원내대표로 선출되면서 대구 군 공항(K-2) 이전 사업이 힘을 받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K-2 이전 사업은 현재 국방부의 '이전 건의서' 검토 단계로 앞으로 사업비 마련, 이전지 결정 등 주요한 현안이 산적해 있어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등 K-2 이전을 주도해온 유 신임 원내대표의 역할론에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다.
특히 현재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인 유 의원은 원내대표가 된 직후 다시 국방위원회로 옮길 의사까지 내비치고 있어 국방부가 K-2 이전 건의서를 최종 수용하면 유 원내대표의 역할이 빛을 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방부는 이전 건의서를 토대로 재원 조달 계획 및 시행 방안 등을 분석'평가하고 있고, 연내에 사업 시행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건의서에는 사업비와 공군 요구 사항 등이 포함돼 있어 이전 기지에 대한 규모와 시설 등을 놓고 공군과 대구시, 국방부가 협의한 뒤 그에 따른 비용까지 산정해야 시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건의서가 받아들여지면 이전지 및 사업비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현재 이전지와 관련, 공군의 검토 및 용역을 거쳐 복수의 예비 이전 후보지가 선정된 상태로 건의서가 수용되면 국방부가 발표할 예정이다.
K-2 이전 사업에서 가장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 것은 사업비 조달 문제. 현재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지만 군 부대를 이전하는데 이 방식만으론 재원을 조달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기지 부지 마련 및 건설비 등에 들어갈 예산이 10조원 안팎에 이를 것으로 예상돼 K-2 부지를 넘겨받아 개발을 한다고 해도 새로운 기지 조성비조차 충당하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크다. 게다가 먼저 새 기지를 조성한 뒤에 이전터 개발에 따른 수익을 내야 해 수억원의 이전 재원을 마련할 방법도 마땅치 않은 상태다.
이 때문에 국비 지원 불가피론이 제기될 가능성이 크고, 이를 위한 이전특별법 개정 논의도 불붙을 것으로 전망돼 이 과정에서 유 원내대표가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관심을 끌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K-2 이전 사업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지만 군 부대를 이전하는데 국비가 지원되지 않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다. 따라서 큰 틀에서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정부도 군 부대 이전을 지자체가 해야 하는 사업이라고 생각해선 안 되고, 주민 소음 피해 및 군 훈련 제약 등에 따른 전력재배치 차원에서 국방부가 주도적으로 해야 하는 사업으로 인식하는 게 맞다"고 했다.
이호준 기자 hoper@msnet.co.kr
※기부 대 양여 방식=지방자치단체가 군 공항이 이전할 부지를 마련해 옮겨주고(기부) 기존 부지를 국가로부터 넘겨받는(양여) 방식이다. 이 방식에 따르면 대구시는 K-2가 이전할 새 부지를 마련해 기지를 지어준 뒤 국방부로부터 K-2 부지를 받아서 개발하게 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