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한 유성건설 회장이 애써 모은 456점의 미술품을 대구미술관에 기증한다는 소식(본지 5일 자 1, 3면 보도)이 알려지면서 김 회장이 화제의 인물로 떠올랐다. 안동 출신으로 경주와 대구에서 사업을 키운 김 회장은 공개적인 대외 활동을 많이 하지 않아 은둔형으로 통한다. 건설업계나 미술계에서도 그에 대해 잘 아는 이가 흔치 않다. 그래서 매일신문의 미술품 기증에 대한 보도가 나간 뒤 김 회장이 누구냐는 문의가 많았다. 그러나 김 회장은 매일신문의 인터뷰 요청에 대해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정중히 거절했다.
김 회장은 대구를 대표하는 컬렉터 중 한 명이다. 일반적으로 미술품을 수집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작품이 좋아서 구입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투자 목적으로 작품을 사는 경우다. 지역 미술계 인사들의 말을 들어보면 김 회장은 전자에 속한다. 미술품이 투자나 증여를 위한 '괜찮은' 수단이 돼 버린 세태에서 볼 때 김 회장의 결단은 이채롭다.
그가 미술품 수집에 나선 것은 수십 년 전부터다. 고등학교 때 이과 쪽 대학 진학을 준비하던 김 회장의 딸인 김은아 우손갤러리 대표가 미대에 진학한 것도 아버지 때문이다. 김 대표는 미술대학원을 거쳐 미술 선진국에서 미술과 미술관 경영 공부를 했다. 김은아 대표는 "아버지로부터 앞으로는 문화의 시대가 올 것이다. 인생을 멋지게 살려면 네가 그쪽 공부를 했으면 좋겠다는 말을 어릴 때부터 귀가 따갑도록 들었다"고 말했다. 또 대구지역 갤러리 대표들은 "오랫동안 김 회장을 지켜본 결과, 김 회장은 그림이 좋아서 작품을 수집하고 있다. 주변 사람들의 만류에도 작품 수집을 멈추지 않았던 것으로 알고 있다. 만일 투자 목적으로 작품을 수집했다면 그렇게 오랫동안 꾸준히 컬렉팅을 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 회장의 미술에 대한 관심과 사랑은 갤러리 운영으로 이어졌다. 회사를 방문하는 사람들을 위해 대구 수성구 만촌네거리 인근의 유성건설 사옥에 우손갤러리를 마련해 소장하고 있는 작품을 전시했다. 이후 우손갤러리는 좀 더 확장된 모습으로 2012년 5월 봉산문화거리에 문을 열었다.
김 회장은 지역 미술 발전에도 기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치열하게 작업을 하는 작가,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구입하거나 금전적 지원 등을 통해 이들의 창작 활동을 후원했다는 것. 지역의 한 중견작가는 "김 회장과 10년 넘게 교류해 오면서 느낀 점은 정말 미술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이다. 어려운 작가들이 있으면 기꺼이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나도 많은 지원을 받았다. 이것이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은 김 회장의 진면목"이라고 강조했다.
오랫동안 관심을 갖고 작품을 수집했기 때문에 작품을 보는 안목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회장은 초창기엔 구상 회화 위주로 작품을 수집했지만, 지금은 컨템포러리 작품(현대 작품)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김 회장이 꾸준히 컬렉팅을 하는 대상이 있다. 바로 한국 작가, 특히 지역 작가들의 작품이다. 이번에 기증된 작품의 절반 정도가 지역 작가 작품이라는 사실은 지역 미술에 대한 김 회장의 애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