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 단체 대부분은 자립기반을 갖추지 못했다. 우수 선수 육성을 통해 성적 내기를 목표로 하는 엘리트 체육의 사정은 더 나쁜 편이다. 거의 모든 체육 단체가 회장을 비롯한 회장단의 출연금이나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에 의존하고 있다.
이런 실정에서 대구시테니스협회 백승희(49'사랑모아통증의학과 원장) 회장의 행보가 '바람직한 체육 단체장의 롤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백 회장은 11일 엑스코에서 열린 대구 최고체육상 시상식에서 특별표창(감사패)을 받았다. 그는 대구시체육회 소속 테니스 실업팀 창단에 앞장서는 등 협회를 파격적으로 지원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백 회장은 실업팀을 운영할 만한 대기업이 없는 대구에서 체육 단체가 살아남는 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백 회장은 대구 달서구에서 병원을 운영해 성공 가도를 달리는 의사이자 경제인으로 2013년 3월 제10대 대구시테니스협회장을 맡았다. 앞서 그는 노영하'이인중'김동구 회장이 각각 8'16'18년씩 살림을 맡은 협회에서 4년간 부회장으로 활동했다.
백 회장은 협회를 맡으면서 지역 테니스인의 숙원인 실업팀 창단에 가장 먼저 관심을 뒀다. 재정이 열악한 대구시체육회가 팀 창단을 주저하자 그는 지난해 2월 사비 5천만원을 지원, 남자 실업팀의 창단을 이끌어냈다. 선수 2명으로 출발한 남자 테니스팀은 올해 선수 1명을 보강해 제대로 된 실업팀의 모습을 갖춰가고 있다. 백 회장은 앞으로 자신의 병원을 타이틀로 내건 여자 실업팀 창단도 염두에 두고 있다.
또 백 회장은 지난해 6월 열린 대구국제남자테니스퓨처스대회에 참가한 12개국의 선수, 임원을 극진히 대접했다. 대구대회의 권위를 높이고 대구시를 홍보하기 위해서였다. 특히 백 회장은 부회장 시절부터 테니스 선수의 취업을 돕는 등 협회 일에 남다른 관심을 뒀다. 그가 운영하는 병원에 수년 전 주차 관리원으로 취업한 한 테니스 선수는 현재 정식 직원으로 일하고 있다.
백 회장의 성원을 등에 업은 대구 테니스는 지난해 제주에서 열린 전국체전에서 금메달과 동메달 1개씩을 수확했다.
하지만 백 회장이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협회를 이끌어 나가려면 그의 남다른 의지와 함께 지역 테니스인과 대구시체육회의 적극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이날 수술이 잡힌 일정 때문에 직접 표창을 받지 못한 백 회장은 "협회 임원들에게 전임 회장들보다 더 오래 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농담한 적이 있는데, 주어진 임기까지 대구 테니스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백 회장은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1억원 기부 클럽인 '아너소사이어티' 회원이며 대구시립희망원 등에서 의료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김교성 기자 kg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