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공단 입주기업의 영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22일 한국산업단지공단과 구미시에 따르면 구미국가산업단지 내 입주기업체 중 근로자 50인 미만의 영세기업 비중은 입주기업 2천10개사(2014년 말 기준) 중 1천643개사로 81.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50~100인 이하 업체는 229개사로 나타나 구미산단 입주기업의 93.1%인 1천872개사는 100인 이하 업체인 것으로 집계돼 구미산단의 영세화가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100인 이상 업체는 138개사 6.8%에 불과하다. 구미산단의 50인 미만 업체 비중은 2006년 45.3%, 2013년 66.8%, 지난해 81.7%로 매년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공장부지 임차 기업체 비중도 2012년 48.2%, 2013년 56.6%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영세기업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은 소규모 창업 증가, 업종의 자동화'기계화 등 영향도 있지만 구미를 떠난 대기업 공장 부지들이 잇따라 소필지로 분할 매각되고 있고, 공장 가동보다는 공장부지를 임대하는 사업자들이 늘고 있어서다. 이런 영향으로 구미산단의 고용창출 능력은 2003~2012년까지 평균 2.6%로, 전국 국가산업단지 평균 7.1% 수준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 구미산단은 고용의 질과 창출 능력 등 모든 측면에서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마구잡이식 소필지 분할 매각도 구미산단의 규모 영세화는 물론 주차공간 부족 등 근로자들의 근무 환경을 갈수록 악화시킨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구미 1산단의 경우 산업시설이 전체 면적의 80%를 차지해 공원'녹지'주차장이 절대 부족한 실정이다. 옛 한국전기초자 구미 2공장 부지는 소필지로 분할 매각돼 최근 중소기업 20여 개가 입주했고, 구미 1공장 부지 5만4천여㎡는 분할 작업 중이다. 옛 동국무역 방직 1공장 부지 24만여㎡와 옛 대우일렉트로닉스 구미공장 부지 39만1천여㎡, 옛 이화섬유'쌍마섬유 부지 등도 수년 전 분할 매각돼 중소기업이 대거 입주했다. 구미 지역의 경제전문가들은 "구미공단은 삼성'LG 등 대기업 계열사들의 해외'수도권 이탈 등으로 수출 감소, 입주기업의 영세화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자치단체장, 국회의원 등 선출직들이 해법을 찾기 위해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구미 이창희 기자 lch888@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