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임시직 실질임금 상승률 4년 만에 첫 '마이너스'

작년 월평균 127만2천원으로 2013년보다 0.5% 줄어들어…전체 근로자 월평균 292만원

계약기간 1년 미만인 임시직 근로자의 지난해 실질임금 상승률이 4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년 이상 계약자인 상용직 근로자를 포함한 전체 근로자의 임금 상승률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인 1%대 초반으로 떨어졌다.

1일 고용노동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임시직 근로자 실질임금은 월평균 127만2천원으로 전년보다 0.5% 감소했다. 임시직 근로자의 실질임금이 전년보다 줄어든 것은 2010년의 -4.4% 이후 처음이다.

조사대상 업체의 임시직과 상용직을 포함한 전체 근로자의 지난해 1인당 실질임금은 월평균 292만6천원으로 1.3% 올랐다. 실질임금이 큰 폭으로 감소했던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연간 실질임금 상승률은 2009년 -0.1%, 2010년 3.8%, 2011년 -2.9%, 2012년 3.1%, 2013년 2.5%였다.

상용직의 지난해 월평균 실질임금은 309만8천원으로 전년보다 1.1% 늘었다. 2011년(-4.7%)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상용직은 정규직과 고용기간 1년 이상 비정규직을 포함한다.

지난해 취업자가 대폭 늘어났지만 실질임금 증가세가 둔화한 것은 장년'고령 취업자와 질 낮은 일자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새로 생긴 일자리 53만3천 개 중 43만9천 개(82.4%)가 50세 이상 연령층에게 돌아갔다. 이들 연령층 신규 취업자의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고 고령자들의 구직 수요가 많다는 점이 임금 상승의 발목을 잡고 있다. 또 지난해 임금 근로자 중 고용 안정성이 높은 상용직이 44만3천 명 늘어나 고용 증가세를 주도했지만 2012년과 2013년 감소했던 임시직도 전년보다 14만 명 늘어나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한편 최근 6년간 연도별 실질 경제성장률은 2009년 0.7%, 2010년 6.3%, 2011년 3.7%, 2012년 2.3%, 2013년 3.0%, 2014년 3.3%였다. 이 기간에 실질임금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웃돈 때는 2012년 한 번뿐이었다. 연평균 실질임금 상승률은 1.3%로 연평균 경제성장률 3.3%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근로자와 가계의 소득을 올려 경제 성장을 유도하는 소득주도(임금주도) 성장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CEO연구원 고건영 컨설팅 팀장은 "일자리 창출 등 고용의 양적 증가는 물론 질적인 부분에서도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소득, 4대 보험, 고용 안정성 등 근로조건이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가계 소득이 증가하고 소비가 늘어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고 했다.

홍준헌 기자 newsforyou@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