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기간 1년 미만인 임시직 근로자의 지난해 실질임금 상승률이 4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년 이상 계약자인 상용직 근로자를 포함한 전체 근로자의 임금 상승률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인 1%대 초반으로 떨어졌다.
1일 고용노동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임시직 근로자 실질임금은 월평균 127만2천원으로 전년보다 0.5% 감소했다. 임시직 근로자의 실질임금이 전년보다 줄어든 것은 2010년의 -4.4% 이후 처음이다.
조사대상 업체의 임시직과 상용직을 포함한 전체 근로자의 지난해 1인당 실질임금은 월평균 292만6천원으로 1.3% 올랐다. 실질임금이 큰 폭으로 감소했던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연간 실질임금 상승률은 2009년 -0.1%, 2010년 3.8%, 2011년 -2.9%, 2012년 3.1%, 2013년 2.5%였다.
상용직의 지난해 월평균 실질임금은 309만8천원으로 전년보다 1.1% 늘었다. 2011년(-4.7%)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상용직은 정규직과 고용기간 1년 이상 비정규직을 포함한다.
지난해 취업자가 대폭 늘어났지만 실질임금 증가세가 둔화한 것은 장년'고령 취업자와 질 낮은 일자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새로 생긴 일자리 53만3천 개 중 43만9천 개(82.4%)가 50세 이상 연령층에게 돌아갔다. 이들 연령층 신규 취업자의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고 고령자들의 구직 수요가 많다는 점이 임금 상승의 발목을 잡고 있다. 또 지난해 임금 근로자 중 고용 안정성이 높은 상용직이 44만3천 명 늘어나 고용 증가세를 주도했지만 2012년과 2013년 감소했던 임시직도 전년보다 14만 명 늘어나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한편 최근 6년간 연도별 실질 경제성장률은 2009년 0.7%, 2010년 6.3%, 2011년 3.7%, 2012년 2.3%, 2013년 3.0%, 2014년 3.3%였다. 이 기간에 실질임금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웃돈 때는 2012년 한 번뿐이었다. 연평균 실질임금 상승률은 1.3%로 연평균 경제성장률 3.3%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근로자와 가계의 소득을 올려 경제 성장을 유도하는 소득주도(임금주도) 성장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CEO연구원 고건영 컨설팅 팀장은 "일자리 창출 등 고용의 양적 증가는 물론 질적인 부분에서도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소득, 4대 보험, 고용 안정성 등 근로조건이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가계 소득이 증가하고 소비가 늘어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고 했다.
홍준헌 기자 newsfor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