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자리 감소 각오한 것인가" "수익성 악화…정책 거꾸로"

전경련 "고용절별 초래" 경총 "청년실업 더 급해"

재계는 임금 인상이 일자리가 급감하는 '고용절벽'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맞받아치고 나섰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6일 올해 기준으로 자산 상위 30대 그룹의 2013년, 2014년 신규 채용 규모와 2015년 채용 계획을 비교한 자료를 발표했다.

30대 그룹은 지난해보다 6.3% 감소한 12만 명을 채용할 계획이며, 신규 채용이 2년 연속 감소한 주된 원인은 통상임금 확대와 정년 연장에 있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전경련 송원근 경제본부장은 "고용절벽 현상이 30대 그룹의 신규 채용 계획에 그대로 반영돼 있다"며 "정부 정책을 고용에 더 초점을 맞춰야 하는데 임금 인상에 맞춘 것은 현 상황과는 배치되는 정책 방향"이라고 주장했다. 송 본부장은 또 "임금 인상 압력은 고용을 더 위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제 5단체장들은 13일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임금 인상을 요청한 자리에서도 임금보다는 고용에 무게를 두며 난색을 표명했다.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회장은 "고용과 임금은 하나를 달성하려고 하면 다른 목표의 달성이 희생되는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다"며 임금 인상보다는 일자리 창출'청년실업 문제 해소를 강조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 역시 "안정적 일자리 창출에 관심을 더 두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경총은 이달 4일 최경환 경제부총리의 '적정 수준의 임금 인상 필요' 발언에도 맞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경총은 올해 임금 인상률을 1.6% 범위 안에서 조정하라는 등 임금 인상 자제를 회원사에 권고했고, 전경련 부설 한국경제연구원도 "임금 인상이 내수 진작으로 연결되기 어렵다"는 자료를 발표해 논란에 가세했다.

최병고 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