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식생활 교육, 아이들이 달라졌어요

친환경농산물 관심 증가

친환경 학교급식은 아이들에게 균형 잡힌 영양을 제공하고 바람직한 식생활 정착과 지역공동체 회복에도 기여한다. 학교 급식을 먹고 있는 구미중학교 학생들. 장성현 기자
친환경 학교급식은 아이들에게 균형 잡힌 영양을 제공하고 바람직한 식생활 정착과 지역공동체 회복에도 기여한다. 학교 급식을 먹고 있는 구미중학교 학생들. 장성현 기자

친환경 학교급식이 환경 보호와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라는 목표에 도달하려면 식생활 교육이 필수다. 적절한 교육은 환경과 건강, 지역공동체에 대한 관심을 크게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대구경북연구원이 지역의 초'중'고교생 1천5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식생활 교육을 받을수록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교육을 받은 학생 중 69.4%는 학교에서 친환경농산물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 교육을 받은 학생 중 절반이 넘는 57.2%는 학교 밥상에 지역 농산물이 오르는 사실을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 중에서는 29.7%만 지역 농산물 사용을 인지하고 있었다.

친환경농산물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알수록 급식 만족도도 높아진다. 친환경농산물 사용을 알고 있는 학생 중 34.1%는 학교급식에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한 반면, 모르고 있는 학생들은 17.7%만이 학교급식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친환경농산물 사용을 알수록 친환경급식 확대를 요구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친환경농산물 사용을 알고 있는 학생의 30.4%는 친환경급식 확대가 중요하다고 응답한데 비해 그렇지 않은 학생은 18.1%만이 친환경급식 확대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학생들은 친환경농산물이 급식에 사용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 학교급식에서 친환경농산물을 사용하고 있는 사실을 알고 있는 중'고교생은 51.3%에 그쳤다. 지역 농산물을 사용한다는 사실도 중'고교생의 56.7%는 모르고 있었다.

구미중학교 이순진 영양교사는 "각 반별로 학생들에게 식생활 교육을 해달라고 교사들에게 부탁하지만 전체적인 교육이 이뤄지고 있진 않다"면서 "친환경학교급식이 효과를 거두려면 학생들에게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게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북도 최영숙 FTA농식품유통대책단장은 "식생활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라며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을 포함한 식생활 교육을 체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성현 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