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와대 정무특보 부담 예결위장까지 뺏길라"…주호영 의원 겸직 우려 목소리

주호영 의원
주호영 의원

주호영 국회의원(대구 수성을)이 23일 박근혜 대통령과 특보단 회의에 참석하면서 지역 정치권에선 "차기 예결특위 위원장 선임에 문제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국회의원이 청와대 정무특보를 겸해도 되느냐는 논란이 진행 중인 가운데, 일각에선 주 의원이 예결특위까지 맡아서야 되겠느냐는 말이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주 의원은 지난해 이완구 원내대표 후보(현 국무총리)가 정책위의장 파트너로 낙점했고 경선에서 이긴 뒤 8개월간 당 정책을 진두지휘해왔다. 3선이지만 상반기에 상임위원장을 맡지 않았고 하반기 상임위원장을 해야 할 때였는데 정책위의장으로 스카우트된 것이다.

'국회의원의 꽃'이라 불리는 상임위원장은 사실상 3선 의원만 할 수 있다. 그래서 1년 임기의 예결특위 위원장은 주 의원으로선 최후의 보루였고 당에서도 주 의원이 하는 것으로 기정사실화됐다.

특히 주 의원은 정책위의장 역할을 하면서도 국회 공무원연금개혁특위 위원장에다 국회선진화법 손질을 위한 당 국회법정상화태스크포스(TF) 위원장까지 겸임했다. 힘든 과제에 대한 해결사로 역할을 한 것이다.

하지만 3선의 김재경 국회의원이 예결특위 위원장에 관심을 가지면서 정치권에선 경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상임위원장 경선은 19대 국회 초반 국방위원장을 두고 유승민 황진하 국회의원이 붙어 유 원내대표가 이긴 적이 있다. 관행으로는 지역구 3선 의원이 1순위, 비례대표 출신 의원이 2순위, 재보선 출신이 3순위이고 같은 출신이라면 연장자 우선이었다. 하지만 그 관행도 조금씩 바뀌고 있다.

지난해 예결특위 구성 땐 대구 몫이 위협받은 바 있다. 강원 정치권(8석)에서 자기 몫을 요구하면서 두 명씩 들어갔던 예결특위 대구 몫(12석)에 문제가 생겼던 것이다. 주 의원이 예결특위 위원장이 되면 당연직으로 계수조정소위에 참여할 수 있어 대구 몫에 문제가 없지만, 일각에선 주 의원이 청와대 정무특보를 하면서 입법부의 가장 주요한 자리인 예결특위까지 맡아선 안 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또 예결특위 위원장을 하고 싶으면 애초부터 정무특보단에 합류해선 안 되는 것이 아니었나라는 말이 나온다.

최두성 기자 dschoi@msnet.co.kr

서상현 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