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떨칠수 없는 유혹, 면세점 사업…中관광객 늘면서 고속 성장 "잡아야해!"

그랜드호텔 면세도 올해 흑자…해외 진출 노하우 시너지까지

불황 속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면세점 사업이 효자 산업으로 부상하면서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까지 면세점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매일신문 DB
불황 속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면세점 사업이 효자 산업으로 부상하면서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까지 면세점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매일신문 DB

올해 유통업계의 최대 화두는 '면세점'이다. 면세점은 불황 속에서도 나 홀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데다 세계 1위 인천국제공항 면세점을 비롯해 서울과 제주에 면세점 신규 허가가 나기 때문이다. 특히 면세점 운영은 장기적으로 기업 이미지 상승 효과와 면세점과 기존 사업의 연계성, 사업 영역을 해외로 넓히려는 디딤돌로 작용해 기업마다 눈독을 들이고 있다.

◆불황 속 유일한 '효자'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국내 면세점 시장 규모는 지난 2010년 4조원에서 지난해 7조5천억원으로 성장했다. 올해도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가 시장 규모가 8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백화점과 마트 등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매출 증가율이 2∼3%에 불과한 것과 비교할 때 면세점은 불황 속에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꼽힌다. 한국을 찾는 유커(중국인 관광객)가 해마다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한국을 찾은 전체 중국인 관광객은 600만 명을 넘었다.

업계에서는 오는 2020년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1천500만 명에 이르고 쇼핑 규모는 30조5천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내다본다.

대구의 유일한 면세점 사업자인 그랜드호텔 면세점 매출은 2013년 10월 오픈 이후 꾸준히 늘고 있으며, 올해 매출은 무난히 200억원을 돌파하고 흑자 전환을 예상하고 있다. 그랜드호텔 면세점 한 매니저는 "하루 평균 200여 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면세점을 찾는다"고 전했다.

그랜드호텔 면세점과 같은 국내 시내면세점의 매출은 2010년 2조4천500억원이던 것이 지난해 4조9천억원으로 뛰었다.

매출뿐만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도 면세점 사업의 매력 포인트. 대형 유통업체 한 임원은 "면세점 사업은 기업의 고급스러운 이미지 형성에 기여해 중'장기적 관점에서도 큰 도움이 된다"고 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면세점 사업이 만능 열쇠는 아니라고 말한다. 무역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한국 면세점이 경쟁력이 있지만 일본 등 주변 국가들이 전략적으로 면세점 사업을 육성하고 있는 만큼 앞날을 장담할 수 없다. 서비스 경쟁력을 키우는 게 우선"이라고 조언했다.

◆면세점은 그림의 떡?

올해에는 인천국제공항 면세점을 비롯해 서울과 제주에 신규 허가되는 시내면세점 사업자 선정이 예정돼 있다. 정부는 면세점 사업 육성을 위해 2012년 이후 중소중견기업에 면세점 특허를 부여하고 올해 하반기에 서울에 3곳, 제주에 1곳의 시내면세점 특허를 추가로 주기로 했다.

그런데 중소중견기업의 면세점 사업은 녹록지 않다. '넘사벽'(넘을 수 없는 벽)으로까지 통한다. 면세점 사업은 초기 투자비용과 운영비용이 높은 사업으로 자금 여력이 충분치 않은 이들 기업이 감당하기에는 쉽지 않다는 것.

인천공항 면세점 경우 노른자위라던 화장품과 향수를 파는 11구역은 두 차례나 유찰됐다. 토종 화장품기업 A사가 앞선 입찰에서 최종 낙찰자로 선정됐지만, 임차보증금 277억원을 마련하지 못해 중도 탈락했다. 100억원이 넘는 입찰보증금만 날렸다. 재입찰에도 한 중소업체가 도전했으나 또다시 유찰됐다. 이번엔 입찰보증금을 내지 못했다.

오는 6월 신규사업자 선정 절차가 시작되는 시내면세점도 우려되긴 마찬가지다. 면세점 사업은 면세업체가 직접 물품을 매입해 판매해야 한다. 규모가 클수록 협상력이 좋아지고, 단가는 낮아져 수익을 내기에 유리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이런 경험이 없고 자본도 충분치 못하다.

유통 전문가들은 "면세점은 초기 투자에만 수천억원의 비용이 드는 철저한 규모의 사업이다. 여기에 경쟁력을 갖추려면 명품 유치가 필수적인데 중소기업들은 운영 경험이 없고 자금력이 달려 협상 테이블에 앉기조차 어렵다"고 했다.

임상준 기자 new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