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회째 열리는 세계물포럼은 물 관련 이슈를 논의하는 수백 개 회의와 더불어 다채로운 전시 및 문화행사가 동시에 열린다. 이 같은 '2015 대구경북 세계물포럼'이 12일부터 17일까지 대구 엑스코와 경주 하이코(HICO)에서 열린다.
세계물포럼(World Water Forum)은 세계물위원회(WWC)가 3년마다 '세계 물의 날'(3월 22일)을 전후해 개최하는 지구촌 최대의 물 관련 국제행사다.
1997년 4월 모로코에서 열린 제1차 세계물포럼이 시초다. 당시 포럼에 참가한 각료들은 '깨끗한 물을 공급받고 위생시설을 확보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 권리'라는 '마라케시 선언'을 채택했다.
이처럼 세계물포럼에 참가하는 각국 정부 및 국제기구, 물 관련 전문가들은 정치적 선언과 더불어 물 문제에 대한 해법과 대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행사기간에는 물 관련 기관과 기업이 우수한 정책과 제품, 기술을 홍보하고 정보를 교류하는 물 엑스포(EXPO)도 열린다.
이번 세계물포럼이 대구경북에서 열리는 이유는 이곳이 낙동강 페놀 오염 사태 등 물 관련 위기를 극복한 곳이기 때문. 아울러 세계물위원회는 우리나라가 그동안의 물포럼과 달리 물 문제의 해결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실행'(인류의 미래를 위한 실천)을 핵심 가치로 제시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이에 따라 대구경북 세계물포럼의 주요 회의로는 기존 진행하던 '주제별 과정'과 '지역별 과정' '정치적 과정' '시민 포럼' 외에도 각종 물 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실제 행동으로 옮겨 줄 '과학기술 과정'이 신설돼 모두 5개 과정 300여 개 세션으로 진행된다. 그런 만큼 이번 포럼은 국가 간 과학기술을 활발히 교류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다.
포럼과 동시에 대구 엑스코 1, 3층 전시관에서 열리는 물 엑스포에도 모두 37개국 250여 기관과 기업이 참여한다. 전시장에서는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등 19개 국가관도 함께 운영된다.
대구시는 이번 물포럼과 발맞춰 대구의 산업과 문화뿐 아니라 대구의 특화된 물 처리 기술을 소개한다. 대구 투어 프로그램의 일환인 산업시찰 행사를 통해 물포럼 방문객을 신천하수처리장과 문산정수장으로 안내하고, 수질 개선 기술 및 물 관리 노하우를 공유할 계획이다.
2015 대구경북 세계물포럼조직위 관계자는 "세계적 규모의 큰 대회이기는 하지만 단순히 우리나라에서 이런 규모의 대회를 치러냈다는 데만 의미를 둬서는 안 된다. 인류의 미래를 담보할 물 문제를 심층적으로 논의하고, 뜻깊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장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홍준헌 기자 newsforyou@msnet.co.kr
※세계물위원회(World Water Council, 약칭 WWC)
1992년 리우환경회의에서 물 문제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면서 1996년 프랑스에서 국제 물정책기구로 설립돼 프랑스에 본부를 두고 있다. 40여 개국 310여 단체가 회원으로 가입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농어촌공사가 가입했다. WWC는 세계 수자원 관리 실태를 개선하는 세계 물 운동을 펼치고 있다. 물을 효율적으로 보전하고 관리'사용해 지구상의 모든 생물이 수자원의 혜택을 보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