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호 건설 상장사인 경남기업이 15일 주식시장에서 퇴출당했다. 증시에 입성한 지 42년 만이다. 경남기업은 1973년 2월 국내 건설사 중 처음으로 주식시장에 입성했다.
그러나 자원외교 비리 의혹과 맞물려 성완종 전 회장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가운데 지난해 감사보고서에서 감사의견 거절 및 자본 전액 잠식이 확인돼 불명예스럽게 주식시장에서 사라지게 됐다.
주식시장에서는 퇴출당했지만 지난 7일 회생절차 개시 판정을 받아 법정관리를 통해 회생을 도모하게 됐다. 1951년 8월 대구에서 설립된 이 기업은 1954년 경남토건에서 경남기업으로 사명을 바꾸고 시공능력 순위 20위권에 달하는 중견 건설회사로 성장했다. 1970년대에는 중동을 비롯해 스리랑카'카메룬'말레이시아 등 해외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이후 대우그룹에 편입되는 등 부침을 거듭하던 경남기업은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국내외 건설 경기 침체로 어려움에 처했다. 2009년 채권단이 또다시 워크아웃을 결정하는 등 급격히 내리막길을 걸었다. 특히 노무현'이명박정부를 거치며 적극적으로 참여한 해외 자원개발 사업이 잇따라 실패하면서 성공불융자금 외 자체 투자 자금을 거둬들이지 못해 적자가 누적됐다. 최근 경남기업은 숨진 성완종 전 회장이 경영권을 포기한 데 이어 검찰의 자원외교 비리 의혹 수사의 표적으로 지목됐고, 감사원 감사도 받는 등 외우내환에 시달리고 있다.
최창희 기자 cch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