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FTA가 '과일 입맛'도 바꿨다…자몽·체리·망고 수입 사상 최대

자몽
자몽

국내산 과일 가격이 오른 데다 외국산 과일을 맛본 해외 여행객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자몽'체리'망고 수입량이 지난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2일 한국무역협회의 과일 수입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자몽 수입량은 1만9천491t에 달했다. 2013년 1만1천580t에 비해 68%나 증가한 것이다. 수입국 비중별로는 미국이 56.0%로 가장 높고 남아프리카공화국 28.9%, 이스라엘 15.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망고 수입량도 지난해 1만599t으로 2013년 6천154t에 비해 72%나 급증했다. 주요 수입국은 필리핀(46.8%)과 태국(43.6%)으로 90% 이상을 차지했다.

체리 수입물량도 지난해 처음 1만t을 넘어섰다. 국내 유통물량 중 미국산 비중이 97.9%에 이르렀는데 이는 미국의 체리 생산량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는 재배면적 축소 등으로 국내산 과일가격이 오른 데 비해 외국산 과일은 미국과 칠레 등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저렴해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최근 해외 여행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소비자들이 외국산 과일 경험이 풍부해진 점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올해도 인기는 여전했다. 이마트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 자몽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6.9%, 망고 매출은 21.9%, 체리 판매는 255.7% 증가했다.

한편 작년 외국산 과일 총수입량은 66만5천981t으로 전년의 66만1천687t에 비해 0.6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가장 많이 수입된 과일은 바나나(35만9천124t)였으며, 전체 수입과일 중 54.3%를 차지했다.

홍준헌 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