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 함께 대구의 자랑, 세계 최고의 모노레일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23일 대구 역사에 남을 새로운 이정표가 만들어졌다. 대구도시철도 3호선 '하늘열차'가 정식 개통한 이날 많은 시민들이 3호선을 타고 도심을 누볐다. 꽉 막혔던 대구 남북은 시원하게 연결됐다.
앞으로 시내버스 노선 개편과 함께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라는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3호선 대구의 낮과 밤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움직이는 전망대이자, 침체돼 있던 구도심 역세권 개발과 상권 활성화에도 힘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영업 시작에 앞서 오전 10시 20분부터 수성구 어린이회관 광장에서 개통식이 열렸다. 이날 행사엔 권영진 대구시장과 여형구 국토교통부 2차관, 국회의원(9명), 자치단체장 등 1천여 명이 참석했다. '행복한 동행'이란 주제로 개통 선포와 영업운행신고가 이뤄졌다.
3호선 개통 첫날 시민들의 관심은 뜨거웠다. 시민들은 줄을 서서 역사에 들어갔고 승객이 몰린 역 승강장에선 한 번에 승차하기 힘들 정도였다.
대구도시철도공사에 따르면 개통 첫날 퇴근시간(오후 6~7시)에 3호선을 이용한 시민은 7천399명이다. 이는 3호선 예측 하루 평균 승객 10만 명의 7.4%다. 평일 같은 시간 1, 2호선의 승객(2014년 기준)은 각각 1만6천2명과 1만6천810명으로, 하루 평균 이용객 가운데 8.6%와 9.4%가 퇴근시간에 몰렸다. 3호선은 개통 첫날 퇴근길 이용률부터 1, 2호선에 육박했다. 3호선 1편성당 수송 능력(정원 265명)이 1, 2호선(722명)의 36.7%에 불과한 것을 감안하면 많은 사람들이 찾은 셈이다.
앞서 영업을 시작한 오후 2시부터 1시간 동안은 9천645명(9.6%)이 이용해 1, 2호선 퇴근시간과 맞먹는 비율을 보였다.
3호선을 탄 시민들의 표정은 호기심이 가득했다. 어린이 대표로 개통식에 참여한 정동연(13) 군은 "어두운 지하가 아니라 햇살이 들어오는 3호선 풍경이 신기하고 재미있다"며 "처음엔 높아서 무서웠지만 몇 정거장 지나지 않아 익숙해져 즐겁게 탔다"고 말했다.
대구도시철도공사는 이날 개통에 맞춰 무료 시승 때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했다. 누수가 확인된 시설물 53곳에 대해 방수작업을 벌였고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 간격이 법정기준(100㎜ 이하)을 넘어서는 21곳에 대해 발빠짐 방지판을 설치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개통 준비 과정에서 우려와 걱정이 관심과 기대로 변하는 것을 느꼈다"며 "앞으로 갈 길이 멀다. 시민의 편리하고 안전한 발이 돼야 하고 운영 적자도 극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더 많이 노력하고 땀을 흘리겠다"고 말했다.
서광호 기자 koz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