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시사주간지 '아르구멘트이 이 팍트이'는 유아기의 언어 발달에 관한 5가지 오해와 진실을 보도했다.
◆아이들과 '혀 짧은 말' 해서는 안 된다?(×)
어른들은 종종 아이들과 얘기할 때 아이들의 말을 되풀이하거나 혀 짧은 소리를 따라 한다. 이런 일은 종종 무의식적으로 이뤄지곤 한다. 그러나 일부 부모들은 "나는 아이들과 혀 짧은 소리를 절대 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다른 부모들의 이런 태도를 완강히 거부한다. 과연 누가 옳을까? 아이들은 이른바 '아이들 언어'에 더 가깝고 이를 더 잘 이해한다고 학자들은 얘기한다. 아이들은 느린 속도로 말하고 접미사 부분의 톤을 낮춰 부드럽게 발성하고 문장을 반복하며 운을 맞춘 문장들을 더 잘 이해한다. 이런 말은 아이들에게 이런저런 단어들의 의미를 '규정하고' 문장의 의미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전신(電信)용 언어'를 가르쳐야 한다?(×)
전신용 언어는 '가자' '먹어' '잘 시간이야' 등 말하고자 하는 바의 의미를 압축한 짧은 단문이다. 일부 부모는 두세 살 난 아이에게는 잉여의 표현을 줄인 이런 말이 좋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전신용 언어는 아이들에게 새로운 단어를 알고 익힐 기회를 빼앗아 어휘력을 빈약하게 만든다고 경고한다.
◆교육용 프로그램 아이들 어휘력 키운다?(×)
아이들의 어휘력을 풍부하게 하려고 특별한 CD나 교육용 프로그램들을 구매하는가? 사실 이런 전자 '보조 도구'가 아이들의 말 습관을 개선해 준다는 사실을 증명한 연구 결과는 전혀 없다. 아이들이 모니터에 나타나는 영상에 흥미를 갖고 따라 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거기서 나오는 단어들은 잘 기억하지 못한다. 따라서 가장 좋은 방법은 아이가 부모와 놀이 과정에서 말을 배우도록 하는 것이다. 아이들과 좀 더 자주, 다양한 놀이를 하도록 하자.
◆(인공)젖꼭지는 발성 나쁘게 한다?(O)
젖꼭지에 반대하는 이들은 이를 오랫동안 사용하면 치열이 나빠져 이 때문에 발성(發聲)에도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믿는다. 반대로 옹호자들은 젖꼭지를 오래 사용하는 아이나 사용하지 않는 아이에게 아무런 차이도 없다고 항변한다. 아이에게 젖꼭지를 물릴지 말지 그 결정은 부모의 몫이지만 전문가들은 가능한 한 빨리 아이들의 입에서 젖꼭지를 떼어낼 것을 권하고 있다.
◆남자아이들 여자아이들보다 말이 늦다?(O)
남자 아이들 대부분이 여자 아이들보다 말이 늦다. 그러나 이는 남자아이들의 발달이 늦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남자아이들의 말에 결함이 있는 경우가 여자 아이들보다 3배나 많은 것도 사실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