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 아니면 어떠랴! 잘 활용하면 '보물창고'…온라인 진로진학지원센터

대한민국은 인터넷 강국이다. 그런 만큼 인터넷상에선 각종 정보가 넘쳐 흐른다. 진로, 진학 관련 정보도 예외는 아니다. 대형 입시업체를 비롯해 사교육 업계가 쏟아내는 정보는 거대한 물결을 이룬다. 이런 상황 속에서 수험생, 학부모가 유용한 정보를 찾아 입시 전략을 짜기는 쉽지 않다.

학교에서의 진학지도, 입시 상담을 못 미더워 사교육 시장을 찾는 학부모도 많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에서 그렇게 할 테지만 이는 시간적, 경제적 부담이 적지 않은 일이다. 이럴 때 각 교육청이 개설한 진로진학센터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게 대안이 될 수도 있다. 이들 홈페이지 가운데 서울시'경기도교육청이 운영하는 진로진학지원센터를 소개한다. 이들은 수험생, 학부모에게 도움이 될 만한 콘텐츠를 상당히 알차게 갖춘 곳이다.

◆'입시 도우미는 가까운 데 있다', 주목! 교육청의 진로진학센터

각 시'도교육청은 인터넷상에서 진로, 진학 정보를 모은 센터를 운영한다. 진로진학지원센터, 진로진학정보센터 등 이름은 조금씩 다르지만 매년 학기 초 진학지도 방향을 설계할 수 있게 도와주는 장점을 지녔다는 것은 공통적이다. 수능시험 대비 방법을 제시하는 것에서 시작해 수시'정시모집의 특징과 분석 자료, 전형 요소별 특징과 대비 방법까지 자세히 설명하고 있어 학생, 학부모뿐 아니라 교사들에게도 유용한 곳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자료지만 사교육 업체의 그것보다 훨씬 실용적이다.

이들 진로진학센터의 최대 강점은 자체적인 자료 생산 능력이다. 대학별 입시 결과 자료 분석과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요 대학 계열별 합격자 성적 분포까지도 제공하고 있다. 이는 사교육 업체들이 따라잡기 힘든 부분이다. 학생과 학부모 입장에선 지원하는 대학의 세부적인 모집 인원의 변화, 전년 대비 올해의 입시 경향에 대한 자료까지 볼 수 있어 사교육 의존도를 줄일 수 있다.

기출문제 자료들을 모아두었다는 점도 유용하다. 수능시험 기출문제뿐 아니라 모의평가 자료까지 실어뒀다. 특히 논술 및 구술면접, 적성검사 등의 기출문제는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역량을 평가하는 데 아주 중요한 자료다. 연도별, 학교별, 계열별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맞춤형 입시 전략을 짜는 데 도움이 된다.

수시모집을 염두에 둔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대학 정보에 목말라 한다. 지원하려는 대학과 학과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경우가 적잖은데 각 대학의 홈페이지에서 보여주는 정보는 학생들의 눈높이에서 이해하기 쉽지 않다. 이들 진로진학센터는 대입자료실을 만들어 각 대학 소개와 학과에 대한 정보를 비교적 쉽게 풀어 제공하고 있다. 또 각 대학의 입학처 홈페이지에 바로 들어가 세부적인 사항을 확인할 수 있게 연동시켜 놓았다.

◆서울 진로진학정보센터(http://www.jinhak.or.kr)

▷진로와 진학의 이원화를 통한 정보 제공=이곳은 진로 정보와 진로검사, 대학'고교의 진학 정보를 두 축으로 자료를 정리해 두고 있다. 진로 분야에서는 진로직업 정보와 체험학습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용자의 개별적인 질문사항에 대한 정보는 따로 진로자료실에 배치했다. 진학 정보는 고입과 대입을 분리해두고 있는데, 고입 경우 고교 유형에 따라 일반계고, 자율고, 특성화고, 특목고로 분리해 각 학교의 특색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학교를 선택할 수 있게 했다. 대입 부분은 올해 입시의 전반적인 사항을 바탕으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학생부 종합전형 관련 정보를 정리해 담았다.

▷진로진학 상담실 운영=진로와 진학에 대한 학생들의 개별적인 궁금증을 풀어주는 온라인 상담과 방문상담을 병행하고 있다. 방문 상담 경우에는 자신이 원하는 날짜와 시간을 정해 신청한 뒤 센터를 방문하면 1대1 대면상담을 할 수 있다. 진학 상담은 진학 지도 경험이 많은 교사들이 맡고 있다. 상담의 질을 높이기 위해 이들 교사를 대상으로 매년 연수를 진행하고 있다.

▷진로직업 정보의 다양성과 자격증 정보=단순한 직업 소개에서 벗어나 개별 직업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직업을 분류별로 정리를 해두었기 때문에 학생들은 자신이 관심 있어 하는 분야를 선택, 관련 직업군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가령 미용'숙박'여행 등을 찾아 들어가면 이와 관련된 직업군을 제시하고 있으며, 각 직업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도 제공한다. 또한 직업과 연관된 자격증 관련 정보를 제시,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관심을 보이는 직업에 종사하려면 어떠한 공부를 해야 하는지 안내하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 직업과 학습을 연계한 조언으로 학생들이 특정 직업에 진출하기 위해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미리 경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개별 자격증 소개에는 자격증과 관련된 기사까지 제공, 학생들이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경기도 진로진학지원센터(http://jinhak.goedu.kr)

▷전형별 진학 정보 제공=올해 이곳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지난 대입 결과 분석 자료다. 사교육 업체들의 개인별 면접 사례나 수시모집 전형별 합격자 분석 자료는 자기네 업체를 이용하는 수험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것이다. 이와 달리 이곳의 자료는 경기도 지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든 것이라는 점에서 대단히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수시모집 경우 정시모집과 달리 당락 이유에 대해 정확히 분석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막연히 사교육 업체에 의존하는 학생, 학부모가 많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이곳의 자료는 작년 대입 결과와 비교해 자신의 현재 상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특히, 대학별 구술면접 문제 복기는 단연 돋보인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전형별 면접을 대비하기 어려운 것은 각 대학이 면접 문제를 공개하지 않기 때문인데, 이를 복기해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배려가 눈길을 끈다. 현재 2015학년도 수시모집 합격'불합격 자료 분석과 면접 후기를 자료집으로 제공하고 있다.

▷진로 진학 상담=이곳 상담실은 온라인으로 대입 상담과 진로 상담을 진행하고, 수원과 의정부 등 두 곳에서 방문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상담실에선 지역 학생들의 과거 입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합격 가능성을 판단하는 근거를 제시한다. 게다가 학생 개인에게 유리한 전형을 분석한 뒤 이를 기반으로 지역 학생들이 경쟁 우위를 보였던 전형을 제시하고, 학습 전략까지 제공하고 있다. 진학을 위한 전형과 학습 전략을 동시에 제공해 학생들에게 동기 부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채정민 기자 cwolf@msnet.co.kr

도움말=매일신문 교육문화센터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