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호강 나무 고사 "네 탓"…경산시 vs 부산국토청

금호강 자전거길을 따라 심은 나무 중 상당수가 말라 죽은 현상(본지 5월 28일 자 1면 보도)과 관련, 나무를 심은 부산국토관리청과 유지 관리를 맡은 경산시가 '네 탓' 공방을 벌이고 있다.

자전거길 조성과 조경공사를 한 부산국토청은 "제방 둑의 나무가 말라 죽은 것은 토질이 척박한데다 가뭄, 겨울 추위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며 "나무를 심은 조경업체 측에서는 '유지관리 책임이 있는 경산시가 물주기 등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 하나의 원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경산시는 부산국토청과 조경공사를 맡은 업체에 책임이 있다는 입장이다. 나무가 잘 자랄 수 없는 척박한 토질의 제방 옆 경사면에 왕벚나무 등을 심어 뿌리 활착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것. 또 건설산업기본법에 조경 식재는 하자 담보책임 기간이 2년으로 돼 있기 때문에 부산국토청이 조경업체에 말라 죽은 나무를 뽑아내고 새로 심도록 하자보수를 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경산시 관계자는 "부산국토청에서 내려온 유지관리 비용으로는 풀베기만 하는데도 돈이 부족하다. 이런 상황에서 18㎞에 이르는 자전거길에 심은 수백 그루의 나무에 물을 주며 관리하려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비용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자전거길은 '금호강 경산지구 하천개수 공사'의 하나로 만들어졌다. 2013년 8월 준공 이후 금호강 경산지구의 유지관리 업무는 부산국토청에서 경산시로 이관됐다. 이 때문에 부산국토청은 경산시에 지난해 5억3천여만원, 올해 7억원의 유지관리비를 지원했다.

한편 금호강 종주 자전거길(69.7㎞) 가운데 경산 하양읍 대부잠수교∼대구 수성구 매호천 구간(18.6㎞)을 따라 식재된 조경수 500여 그루 가운데 200여 그루가 2년도 안 돼 말라 죽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산 김진만 기자 fact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