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회법 개정안 처리 후폭풍…새누리당 지도부 '곤혹'

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유승민 원내대표가 회의 도중 보도된
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유승민 원내대표가 회의 도중 보도된 '청와대, "여야, 개정국회법 강제성 여부 입장 통일해야"'라는 제목의 기사를 전달받고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오른쪽은 김무성 대표. 연합뉴스

복잡해졌다.

1일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 회의에선 '왕당파'로 불리는 친박 의원들이 비주류 지도부의 국회법 개정안 처리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인책론까지 제기했다.

친박계 좌장격인 서청원 최고위원은 "우리당이 자성할 필요가 있다"고 지도부를 겨눴고, 친박계 이정현 최고위원은 "이 문제에 대해 책임이 필요하다면 누군가의 책임 문제도 함께 생각할 수 있는 문제"라고 비판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아예 "유 원내대표 체제 출범 이후 당'청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며 직격탄을 날렸다.

지도부는 말을 아꼈다. 자칫 당'청 전면전 양상으로 비화할 수도 있어 최대한 자제하는 분위기다. "삼권분립에 어긋나지 않는다"던 유승민 원내대표는 이날 박 대통령이 거부권 행사를 시사하자 "우리도 생각해보겠다"며 유연한 입장을 보였다.

김무성 대표는 여권이 분열될 것을 우려한 듯 "대통령이 그런 말씀을 하셨다면 충분한 검토의 결과로 말씀하신 걸로 생각한다. 대통령과 우리 당의 뜻이 다를 수가 없다"고 밝히면서도 "유승민 원내대표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문제"라며 유 원내대표를 감쌌다.

여당이 자중지란에 빠져 대야 협상력이 상실되는 사태를 경계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김 대표는 "중요한 것은 국회법 개정안의 내용이 위헌이냐 아니냐 하는 것으로서 균형감각 있는 헌법 학자들을 불러 논의할 것"이라고 대안을 제시, 봉합을 서둘렀다.

친박계를 뺀 여권 일각은 "청와대가 너무 하는 것 아니냐"며 격앙했다. 박 대통령이 한나라당(새누리당 전신) 대표이던 제1야당 시절, 한나라당은 국회 권한을 강화해 정부를 견제해야 한다며 국회법을 개정했고 당시 박 대통령도 찬성 표결을 했다는 것. 현 정부 최대 국정과제인 공무원연금 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여야 협치의 결과물로 국회법 개정안이 나온 것은 불가피한 현실이라는 얘기도 강하게 나오고 있다.

최두성 기자 dschoi@msnet.co.kr

서상현 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