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1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이 표결에 참여해 여당의 과반의석이 만들어준 '반쪽 총리'라는 소리는 듣지 않게 됐지만, 인준 찬성률이 56.1%에 그쳤다는 점은 황 총리가 깊이 유념해야 한다. 그만큼 야당의 반감이 크다는 것이다. 여론 역시 그리 좋지 않다. 그 이유는 전적으로 황 총리 자신에게 있다. 병역기피 의혹은 명쾌하게 풀리지 않았고, 이른바 '19금 사건' 수임 내역을 포함한 각종 자료를 제출하지 않거나 부실한 자료를 내는 것으로 일관했다.
그래서 황 총리의 인준안 통과를 보는 국민은 곤혹스럽다. 총리로 인정해야 하느냐는 것이다. 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이후 청문회를 거치기까지 황 총리가 보인 행태는 대단히 실망스러웠기 때문이다. 야당이 총리 인준안 처리에 협조하지 않겠다고 했을 때 여론이 일정 부분 공감했던 이유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려면 황 총리는 도덕적 흠결을 덮고도 남을 행정적'정무적 능력을 보여야 한다.
그 첫 시험대가 메르스 사태의 진화다. 여당이 황 총리 인준안의 단독 처리 가능성을 거론한 명분도 '총리 지휘 하의 메르스 사태 대응'이었다. 메르스 사태에서 정부는 총체적 무능을 드러냈다. 초동 대응에 실패한 데 이어 이후에도 체계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조기에 정리하지 못하면 박근혜정부의 총체적 실패로 귀결될 수 있음을 황 총리는 명심해야 한다.
경제 상황의 악화도 시급한 문제다. 그렇지 않아도 위축된 경기는 메르스 사태로 직격탄을 맞았다. 내년도 성장률이 2%대로 추락할 것이란 우울한 전망은 갈수록 현실감이 높아진다. 국회와 행정부가 긴밀히 협조해 신속히 대응해야 하지만 국회법 개정 파동으로 국회와 청와대는 첨예하게 대립 중이다. 이렇게 꼬일 대로 꼬인 상황을 황 총리가 어떻게 풀어갈지 국민은 지켜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