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황교안 총리, 국가 위기 사태 진정시켜 자격 입증하라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1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이 표결에 참여해 여당의 과반의석이 만들어준 '반쪽 총리'라는 소리는 듣지 않게 됐지만, 인준 찬성률이 56.1%에 그쳤다는 점은 황 총리가 깊이 유념해야 한다. 그만큼 야당의 반감이 크다는 것이다. 여론 역시 그리 좋지 않다. 그 이유는 전적으로 황 총리 자신에게 있다. 병역기피 의혹은 명쾌하게 풀리지 않았고, 이른바 '19금 사건' 수임 내역을 포함한 각종 자료를 제출하지 않거나 부실한 자료를 내는 것으로 일관했다.

그래서 황 총리의 인준안 통과를 보는 국민은 곤혹스럽다. 총리로 인정해야 하느냐는 것이다. 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이후 청문회를 거치기까지 황 총리가 보인 행태는 대단히 실망스러웠기 때문이다. 야당이 총리 인준안 처리에 협조하지 않겠다고 했을 때 여론이 일정 부분 공감했던 이유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려면 황 총리는 도덕적 흠결을 덮고도 남을 행정적'정무적 능력을 보여야 한다.

그 첫 시험대가 메르스 사태의 진화다. 여당이 황 총리 인준안의 단독 처리 가능성을 거론한 명분도 '총리 지휘 하의 메르스 사태 대응'이었다. 메르스 사태에서 정부는 총체적 무능을 드러냈다. 초동 대응에 실패한 데 이어 이후에도 체계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조기에 정리하지 못하면 박근혜정부의 총체적 실패로 귀결될 수 있음을 황 총리는 명심해야 한다.

경제 상황의 악화도 시급한 문제다. 그렇지 않아도 위축된 경기는 메르스 사태로 직격탄을 맞았다. 내년도 성장률이 2%대로 추락할 것이란 우울한 전망은 갈수록 현실감이 높아진다. 국회와 행정부가 긴밀히 협조해 신속히 대응해야 하지만 국회법 개정 파동으로 국회와 청와대는 첨예하게 대립 중이다. 이렇게 꼬일 대로 꼬인 상황을 황 총리가 어떻게 풀어갈지 국민은 지켜보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