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한국 메르스 종식 시점 "산발적 발병 멈추고난 뒤 수주일 후, 빨라도 7월"
세계보건기구(WHO) 메르스 합동평가단에 참여한 한국 전문가들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종식 시점에 대해 "빨라도 7월"이라고 설명했다.
국회 메르스대책특위는 지난 18일 오후 전체회의를 열고 세계보건기구(WHO) 메르스 합동평가단에 참여한 한국 측 전문가들을 상대로 메르스의 전망에 대해 질의했다.
합동평가단 공동단장이었던 이종구 전 질병관리본부장은 "적어도 수주일 걸릴 것으로 평가단은 본다. 지금처럼 산발적인 발병이 멈추고 난 뒤의 수주일"이라고 강조했다.
정해관 성균관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도 메르스 종식 시점에 대해 "6월 중에 종식되는 것은 힘들지 않겠나"라며 "7월 중에 종식되면 대단히 성공적인 결과"라고 전망했다. 정 교수는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가능성이 없다고 할 순 없다. 다만 중동 사례를 보면 지역사회 내 감염이 있더라도 아주 소규모였고 그 잠재력은 높지 않다고 본다. 대비는 해야겠지만 현재까지 지역사회 감염의 증거는 찾아볼 수 없다"라고 설명했다.
지영미 질병관리본부 면역병리센터장은 추가 '슈퍼전파자' 발생 가능성에 대해 "20-30명씩 감염시키는 수준은 아니더라도 10명 이상을 감염시킬 수 있는 슈퍼전파자의 (발생) 가능성은 열어둬야 한다"라며 "현재 몇 개의 병원이 삼성서울병원과 관련돼서 또 대규모 진원이 될 가능성이 있는 병원도 있다고 내부적으로 판단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정의당 정진후 의원은 질의에서 "지난해 보건복지부의 의료기관 인준평가 결과를 보면 삼성서울병원은 감염관리 평가의 모든 항목에서 최고 점수인 '상' 등급을 받았다"라며 "이는 평가항목에서 응급실이 빠져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시스템 개선을 촉구했다.
뉴미디어부01 maeil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