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은 아무리 증거를 들이대도 자신이 한 나쁜 짓에 대해 솔직하게 '잘못했다' '미안하다'라고 좀처럼 말하지 않는다. 높고 책임질 만한 자리에 있는 사람일수록 더 심하다. 총리나 장관 등의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가장 흔히 듣는 변명 가운데 하나가 '기억이 안 난다' '심려를 끼쳐 드렸다면 미안하다'는 말이다.
기억이 안 난다는데야 어쩔 수 없지만, 후자에는 뉘앙스가 깔린다. 별것도 아니고 잘못했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혹시 마음이 '상했다면' 미안하다는 뜻이다. 해야 할 말은 '잘못했다'인데 마음이 상했을 수도 있겠다며 그 '상황'에 대해 미안하다고 말장난을 하는 것이다.
소설가 신경숙 씨가 표절 논란에 대해 입을 열었다. 신 씨는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 '우국'의 문장과 '전설'의 문장을 여러 차례 대조해 본 결과, 표절이란 문제 제기를 하는 게 맞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아무리 지난 기억을 뒤져봐도 '우국'을 읽은 기억은 나지 않지만, 이제는 나도 내 기억을 믿을 수 없는 상황이 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한 대체적인 분위기는 '신 씨가 표절을 인정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엄밀히 따지면 '표절했다. 미안하다'는 말은 아니다. 여기에다 자신의 기억을 못 믿겠다고 덧붙임으로써 '기억에도 없고 표절도 안 했지만, 이것이 문제가 된 것은 미안하다'라는 말장난이 됐다.
'잘못했다'고 하면 될 것을 어떻게든 직접적인 표현은 피하려는 신 씨의 처지는 그렇다 치더라도, 이번 사태에 대한 문단 일부의 반응은 이해하기 어렵다. 이시영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은 "한국 문단이 성숙한 논의를 통해 해결해야 할 사항"이라고 했다. 표절 의혹을 제기한 소설가 이응준 씨는 "문학의 일은 문학의 일로 다뤄져야 한다. 표절에 대한 검찰 조사는 반드시, 즉각 철회돼야 한다. 미개사회가 될 수는 없다"고 했다.
성숙한 논의나 문학의 일로 다룬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정확하게 알기는 어렵다. 또한, 검찰이 표절 문제를 수사하는 우리나라가 미개사회라는 것인지, 고발하는 풍토가 미개사회라는 것인지도 애매하다.
그러나 문장을 누구보다 명확하게 표현해야 할 문인들이 애매한 낱말을 이리저리 꿰맞춰 흐리멍덩하게 하는 것은 초점 흐리기에 지나지 않는다. 이번 문제는 신 씨 개인을 넘어 문단 전체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래서 '미개하다'는 말은 수없는 표절 논란에도 자성은커녕 두둔하거나 두루뭉술하게 넘기려는 우리 문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싶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