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역난방공사 대구지사(이하 대구지사)가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저급 중유(벙커C유)를 LNG 연료로 교체하는 대신 기존의 10배 규모 발전소를 신설하고자 검토 중이다. 인근 주민들과 시민단체는 오염원 배출량이 여전히 많을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8일 대구지사는 지사 부지 내에 LNG 연료를 사용하는 400㎿급 열병합발전소를 신설하고자 지난달 29일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대구지사는 1997년부터 중유 발전을 통해 달서구 일대 주택에 지역난방을 공급하고 있다. 중유는 원유 증류 단계에서 찌꺼기인 아스팔트 전 단계에서 나오는 저급 연료로, 도시가스와 비교해 가격은 20%가량 싸지만 환경비용이 5배 수준으로 많이 든다. 지역난방공사 전국 17개 지사 가운데 중유를 사용하는 곳은 대구와 충북 청주 2곳뿐이다.
지난해 본지 보도로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 반발이 거세지자 대구지사는 "2021년부터 연료를 LNG로 전환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대구지사가 검토 중인 400㎿급 발전소의 경우 환경비용이 지금보다 더 많이 들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UN환경계획 조사에 따르면 현재 44㎿ 발전소의 환경비용은 연간 102억원으로, 같은 용량 천연가스 발전소(19억원)의 5.3배 수준이다. 그러나 400㎿급 천연가스 발전소에서는 연 113억원의 환경비용이 든다. 기존 중유 발전소보다 10% 정도 환경비용이 높아지는 셈이다.
발전 용량이 크면 그만큼 배출량이 늘어난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우려도 크다. 대구지사 인근 주민 신모(54) 씨는 "대기오염 걱정에서 벗어나는가 했는데 더 큰 발전소를 들인다니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다"고 했다. 기존 발전소 용량으로도 전력 수급에 전혀 문제가 없었던 만큼 대용량 발전소를 신설하는 것은 불필요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조광현 대구 경실련 사무처장은 "대구지사는 앞으로 달서구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도 난방을 보급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대용량 발전소를 짓고 있는데, 열 에너지는 멀리 수송할수록 총량이 줄어드는 만큼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다른 지역에 새 발전소를 짓는 것이 유리하지, 굳이 한 곳에 대용량 발전소를 지을 이유가 없다"고 했다. 대구지사 관계자는 "타당성 조사 결과를 확인해봐야 하겠지만 발전 시설을 지을 때 오염물 배출 방지 시설을 반드시 설치하도록 돼 있는 만큼 문제 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홍준헌 기자 newsfor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