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포스코 경영 쇄신, 제2 창립 계기 돼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포스코가 외주 파트너사의 선정 방식을 공개경쟁으로 전환하는 고강도 경영 쇄신안을 내놓았다. 구매 및 외주사 선정의 공개경쟁 원칙 도입과 자산매각 등의 구조조정안을 발표한 것이다. 특히 60개에 이르는 포항제철소 외주사의 선정 방식을 이렇게 전환하는 것은 창립 47년 만의 일대 혁신으로 지역 경제계에 엄청난 후폭풍을 불러올 전망이다.

이번 쇄신안은 외주사와의 거래 관계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유지함으로써 정치권의 외압과 토착세력의 입김에서 벗어나는 것은 물론, 이른바 '포피아'(포스코 관피아)로 불리는 퇴직 임직원의 자리 보존 관행도 철폐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보인다. 포스코의 이번 개혁안은 전직 최고 경영진과 당시 정치권 실세 그리고 유력 협력업체 관계자들이 얽힌 뿌리깊은 비리에 대한 검찰의 수사가 마무리되어 가는 시점에 나온 것이어서 때늦은 감이 있다.

이번 개혁은 세계가 주목하는 대한민국 국민기업을 비리의 온상으로 만든 일단의 부정부패와 잘못된 관행을 극복하고 경쟁력 있는 글로벌 일류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피할 수 없는 수순이다. 하지만 정치권과 토착세력의 비호 아래 학연'지연까지 씨줄 날줄로 엮인 특혜와 이권관계를 한꺼번에 타파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오랜 세월 굳은살이 박힌 포피아의 관행을 끊어내는 것이 가장 큰 숙제이다. 포항제철 외주사 60개사 가운데 28개사의 경영 실권자가 포스코 간부 출신이었다. 당장 외주사의 경영 성과를 1년 단위로 평가해 재계약하고, 지역협력 차원에서 공모를 통해 뽑힌 경영인에 대해서도 '최대 3년 연임'만 허용한다는 방침에 주목한다.

국민은 우리나라 산업화의 자랑스러운 상징인 포스코가 이제야 후진적이고 왜곡된 경영 스타일에서 벗어나 건전한 국민기업으로 어떻게 거듭나는가를 유심히 지켜볼 것이다. 포스코의 이번 결단은 그동안의 부정적인 기업문화에서 벗어나 기업 윤리를 바로 세우고 국민 신뢰를 다시 얻는 재도약의 첫걸음이 되어야 한다. 강도 높은 비상경영 쇄신안을 내놓은 포스코의 자정 노력을 반드시 이뤄내 다시는 정치권의 먹이가 되거나 검찰 수사 대상에 오르지 않기를 기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