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를 일으키는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을 시계나 목걸이 형태의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해 쉽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뇌의 위축과 퇴화로 발생하는 알츠하이머병은 가벼운 기억장애로 시작하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 십상이다. 이 때문에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은 매우 중요한 과제다.
포스텍(포항공대) 화학공학과 오준학 교수팀은 IBS(기초과학연구원)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단장 김기문)과 공동으로 아세틸콜린을 모을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 아세틸콜린은 학습능력이나 기억력을 활성화시키는 신경전달물질로 너무 많으면 파킨슨병을 유발하고, 너무 적으면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수 있다.
오 교수팀은 부드럽게 구부러지는 기판 위에 김기문 단장팀이 연구 중인 쿠커비투릴(속이 빈 호박 모양의 나노물질)을 씌워 알츠하이머를 진단할 수 있는 아세틸콜린을 검출해낼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만들어냈다. 이 센서는 기존보다 100만 배 이상 민감할 뿐만 아니라, 간단하게 합성이나 제조가 가능해 상용화가 쉽다. 특히 조기진단이 중요한 치매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이 있는 가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오 교수는 "이번 연구는 뇌질환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을 아주 적은 농도에서도 검출해 낼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낸 기술"이라며 "앞으로 치매와 같은 뇌질환을 조기진단 하는 웨어러블 진단 기기 제조가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소재분야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지에 게재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