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 국회의원의 속이 타들어가고 있다.
차기 총선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본선'은 고사하고 '공천' 방식조차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제20대 국회의원선거는 내년 4월 13일에 치러진다. 7개월 보름밖에 남지 않았다.
특히 새누리당 의원들의 고민이 깊다. 새정치민주연합의 경우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현역 의원 20% 컷오프) ▷공직선거후보자검증위원회(도덕성 점검) ▷공천관리심사위원회(최종 후보 결정) 등을 거치는 공천 절차가 윤곽을 드러내고 있는 반면 새누리당은 아무것도 정해진 것이 없다.
김무성 대표최고위원은 상향식 공천의 결정판인 완전참여형 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정치적 생명을 걸겠다고 배수진을 쳤지만 당 소속 의원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야당과의 협상, 공천 과정에서의 특수 상황, 차기 총선 구도 등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막는 요인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대구의 한 중진의원은 "오픈프라이머리가 반드시 도입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오픈프라이머리의 취지를 살리는 선에서 당원투표와 여론조사 결과를 혼합하는 방식이 낙점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당내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는 공직후보자 결정 방식을 밀어붙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차기 총선의 공천과 선거 방식 결정이 늦어짐에 따라 당내 분위기도 뒤숭숭하다. 현역 의원들이 자신에게 유리한 내용을 담은 백가쟁명(百家爭鳴)식 주장을 쏟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의원들은 여성의원 30% 의무공천을 주장하고 있다.
또 일부 정치 신인과 비례대표 의원은 탈당 등으로 당원협의회 위원장이 공석인 '사고 당협'과 정치적 상징성이 크거나 격전지인 '전략 선거구'에 대해서는 전략공천이 불가피하지 않으냐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아울러 인구가 적어 통폐합 대상에 오를 수 있는 농'어촌 지역 의원들은 '농어촌'지방 특별선거구' 신설 등을 주장하고 있어 선거구 결정 작업부터 난항이 예상된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현역 의원들에게 '수명 연장을 위한 꿈'인 재선보다 중요한 일은 없다"며 "당의 입장 정리가 늦어지면 '각자도생'(各自圖生) 분위기가 만연해져 자칫 또 다른 공천갈등으로 불거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