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경 세계군인체육대회 개막…열흘간의 '하나 됨' 속으로

117개국 7천45명 선수단 입장식…연평해전 이희완 소령 성화 점화

박근혜 대통령이 2일 오후 경북 문경 국군체육부대 메인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5 경북문경 세계군인체육대회 개막식에서 한국선수단이 입장하자 거수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2일 오후 경북 문경 국군체육부대 메인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5 경북문경 세계군인체육대회 개막식에서 한국선수단이 입장하자 거수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계 군인들의 스포츠 축제, '2015 경북문경 세계군인체육대회'가 2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열흘간의 열전에 돌입했다.

2일 오후 5시 문경 국군체육부대 주경기장에서 열린 개막식은 식전행사인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가 선보인 화려한 공중 예술로 문을 열었다.

개막식은 박근혜 대통령이 주경기장에 입장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태권도 시범단의 공연에 이어 태극기가 게양됐고, 애국가가 울려 퍼졌다.

117개 국가에서 온 7천45명의 선수단은 자국명의 프랑스어 알파벳 순서에 따라 입장했다. 선수'임원단은 자국의 군복을 입고 입장했다. 이날 선보인 군복만 500여 가지에 이르렀다. 한국군은 짙은 녹색 정복을 입고 참가국 중 마지막으로 입장했다.

김관용 대회 공동 조직위원장(경상북도지사)은 환영사에서 "전 세계 군인들이 총칼을 내려놓고 스포츠를 통해 우정을 나누는 대단한 의미가 있는 대회"라며 "'우정의 어울림, 평화의 두드림'은 이런 대회 이념을 구현한다"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개회를 선언하자 주경기장 전체에 함성이 울려 퍼졌다. 이어 선수와 심판, 코치의 대표선서가 진행됐고, '하나 됨'을 주제로 한 화려한 공연이 펼쳐졌다. 주제공연은 군인들의 역동적인 모습과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안동차전놀이(중요무형문화재 제24호)가 주제공연 무대에 올라 역동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주제공연이 끝나고 열흘 동안 대회장을 환히 비추게 될 성화가 점화됐다. 최종 성화 점화자는 이희완 소령이 맡았다. 이 소령은 2002년 제2연평해전 당시 참수리 357정 부정장으로 전사한 정장 윤영하 소령을 대신해 25분간 교전을 지휘했고, 북한의 37㎜ 포탄에 맞아 오른쪽 다리를 잃었다. 개막식의 피날레는 117개국 군인들이 모두 참여하는 '솔저댄스'로 마무리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