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 전환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민간 출판사가 발행해온 검인정교과서가 2017년부터 국정교과서로 바뀌게 됐다.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편찬은 앞으로 국사편찬위원회가 맡는다. 2011년 역사교과서가 완전 검정교과서로 바뀐 후 6년 만에 다시 국정 체제로 환원하게 된 것이다.
현행 검인정교과서가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왜곡된 역사관과 국가관을 심어준다는 인식이 많은 것은 부인하기 힘들다. 진보좌파 집필진들이 편찬한 상당수 검인정교과서는 북한 세습 정권의 부도덕성에 대해서는 외면하거나 미화하고 남한의 경제 발전, 자유 신장 등 좋은 점은 간과하거나 비하해 국정교과서 논란의 빌미를 제공했다.
국정교과서는 양날의 칼이다. 검인정의 폐해를 시정할 수 있는 기회가 되지만, 새로운 폐단을 낳을 수도 있다. 정부 의도대로 자라나는 세대에게 우리 역사를 올바르고 균형 있게 가르칠 수 있게 된다면 국익에 부합하지만, 야당이나 일부 역사학계의 주장대로 획일적 역사관을 심어 민주주의에 역행한다면 독이 되는 것이다.
정부가 국정교과서로의 회귀를 결정한 이상 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또 다른 논란을 무릅쓰고 국정교과서로 결정한 만큼 그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 역시 정부 몫이다. 국정교과서 제정을 둘러싼 여야 간 세력 다툼이 정부가 추진 중인 노동개혁 등 4대 개혁을 비롯한 국정과 민생의 발목을 잡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균형 있는 집필진 구성이 필요해 보인다. 청'장'노년층과 좌우 이념을 넘어선 집필진을 구성하는 것은 이념 편향성을 불식시키고 균형 잡힌 교과서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오류가 없고, 객관적 사실에 근거하며, 이념적 잣대에서 벗어나 오직 국익에 근거한 역사교과서를 만들어야 한다. 정부 주장대로 '국정교과서가 사회적 논쟁을 종식하려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면 '이념 편향성을 넘어서는 균형 잡힌 교과서를 만드는 것' 역시 국정 혼란을 줄이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