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5자 회동'의 후폭풍이 정가에 몰아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당대표 및 원내대표 간 회동이 아무런 성과 없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등에 대한 엇갈린 인식만 확인하면서 정국은 더욱 급랭하고 있다.
당장 23일 예정됐던 여야 원내지도부 간 '3+3 회동'은 야당의 거부로 열리지 못했고, 향후 개최 일정도 불투명해졌다.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확정 고시되는 내달 5일까지는 여야의 치열한 대립이 불가피해 보인다.
23일 국회로 돌아온 여야는 날 선 공방을 쏘아대며 경색된 정국의 주도권 잡기에 열중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5자 회동에 대해 "국정교과서 '괴담' 진원지는 대통령" "한마디로 역사에 대한 무지" 등의 표현을 써가며 맹비난했다. 국정화에 대한 역사학과 교수들의 잇단 집필 거부 성명을 4'19 혁명으로까지 비유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문재인 대표와 제가 아무리 합리적, 객관적 주장을 펴도 전혀 들으려 하지 않았다. 국정교과서 괴담의 진원지는 대통령이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청와대 회담의 최대 성과는 '나는 완벽하고 옳고, 당신들이 주장하는 건 다 틀렸다'는 독선적 대통령의 태도를 확인한 것뿐"이라고 비판했다.
새누리당도 야당의 국정교과서 중단 요구를 '억측'으로 규정하며 맞받아쳤다. 좌 편향 논란이 일고 있는 일부 검인정교과서의 문제점을 제시하며 국정교과서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야당이 집필진도 구성되지 않고 단 한 페이지도 쓰이지 않은 역사교과서에 대해 친일이니 독재니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여야 정치권의 지나친 개입은 역사교과서를 정치교과서로 만드는 우로 이어질 수 있다"고 야당을 비판했다.
5자 회동의 후폭풍이 여야 간 국정교과서 공방으로 정치권에 불어닥치면서 이날 계획됐던 여야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 원내수석부대표 간 '3+3 회동'은 기약 없이 미뤄졌다.
여야는 이 자리에서 올 정기국회 법안'예산안 등의 처리 문제를 논의하기로 합의했었다.
이 원내대표는 "(3+3 회동은) 이번 주에 (열리기) 어려울 것 같다"며 "다음 주에도 사정 변경이 없는 한 (회동이 열리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했다.
새누리당은 조속한 개최를 요구했다. 원 원내대표는 "19대 국회 마지막 정기국회에서 처리해야 할 법안과 예산안 심사가 중요하고 한-중 FTA (비준안 처리)를 해야 해 이 문제를 갖고 이 원내대표와 3+3 회동 일정을 구체적으로 잡아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갤럽은 23일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지난주에 비해 '반대' 답변이 늘고, '찬성' 응답이 줄어 반대 의견이 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갤럽이 지난 20~22일 3일간 전국의 만 19세 이상 남녀 1천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휴대전화 임의걸기 방식 조사,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 따르면 반대 의견이 47%로, 찬성 의견(36%)보다 11%포인트 높았으며 17%는 입장을 유보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