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의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를 창시한 니콜라스 브래디(87) 전 미국 재무장관이 중국이 해당 제도를 잘못 운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킷 브레이커는 1987년 미국의 사상 최대 주가 폭락 사태인 '블랙 먼데이' 이후 주식시장의 붕괴를 막고자 처음 도입된 제도다.
브래디 전 미국 재무장관은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억제하기 위해 소집된 위원회를 맡아 서킷 브레이커 제도를 만들어냈다.
8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브래디 전 재무장관은 한 인터뷰에서 "그들은(중국은) 잘못된 길을 가고 있다"라며 "그들에게는 시장을 적절히 반영하는 일련의 서킷 브레이커 제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미국 역시 시행착오를 겪은 후 지금의 서킷 브레이커 제도를 완성했다.
미국은 서킷 브레이커 도입 후 1997년 10월 27일 사상 처음으로 주가 급락으로 주식시장이 폐장하는 사태를 맞았다. 당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 하락폭은 554포인트, 하락률은 7.2%였다. 최근의 중국 주식시장의 폭락 수준과 유사하다.
하지만, 1987년 블랙 먼데이 당시 주가는 23% 가량 하락해 서킷 브레이커로 거래가 중단된 1997년의 하락률 7%의 세 배를 웃돌았다. 거래를 중단시킨 주가하락률이 너무 낮았던 것이다.
이후 당국은 다우지수가 10% 이상 떨어지면 1시간, 20% 이상 하락하면 두 시간 주식거래를 중지시키는 형태로 서킷 브레이커 제도를 손질했다. 또 30% 이상 하락하면 당일 거래를 완전히 중단시켰다.
당국은 시장 상황을 반영해 서킷 브레이커의 벤치마크 지수를 다우지수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로 변경하고 서킷 브레이커를 발동하는 주가 하락률도 또다시 수정했다.
현재 미국은 S&P500지수가 7%, 13% 하락하면 일정 시간 거래를 중단시키고, 20% 이상 하락하면 당일 거래를 중단시킨다.
그러나 미국에서 7% 이상 하락은 매우 드문 경우로 1987년 블랙먼데이, 대공황, 2008년 금융위기 때에나 볼 수 있었다.
반면, 중국에서 주가가 7% 이상 하락한 경우는 지난해에만 7번이나 됐다.
에이트 그룹의 상 리 애널리스트는 "(적정 하락률은) 정확히 맞아떨어지는 과학과 같은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수치를 너무 낮게 잡으면 변동성을 완화하기보다는 변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전날 늦게 중국 당국은 증시 변동성을 오히려 높인다는 지적을 받아온 서킷 브레이커 제도의 시행을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신규 원전 건설? 실현 가능성 없어" 李대통령 '100일 기자회견' 어떤 얘기 오갔나